【 앵커멘트 】
코로나 이후 침체한 면세시장이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업계 1위 롯데면세점까지 비상경영체제를 선포하며 위기감은 더욱 고조되고 있는데요.
구민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면세업계 절대강자로 꼽히던 롯데면세점이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했습니다.

코로나 기간 실적 악화에도 불구하고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견뎌왔지만, 고물가와 고환율 등 외부 환경에 의해 수익성이 크게 악화했기 때문입니다.

롯데면세점은 먼저 기존 3본부 체제를 1본부로 전환하면서 조직과 임원 수를 줄여나가고, 전 임원의 급여를 20% 삭감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또한 과거 중국인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확장했던 잠실 월드타워점의 타워동 매장 면적을 축소할 예정입니다.

롯데면세점은 지난해 3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3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며 좀처럼 침체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1분기 영업손실 280억 원을 포함한 현재 누적 적자 규모는 537억 원입니다.

상황이 어려운 것은 다른 면세점도 마찬가지입니다.

올 1분기 현대백화점면세점은 영업손실 157억 원으로 적자를 이어갔으며, 신세계면세점과 신라면세점의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7.1%, 77%나 감소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주 고객층이었던 중국인 관광객의 변심이 치명적이라며, 이들을 다시 한국 면세점으로 불러올 수 있는 뾰족한 묘안이 없는게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 인터뷰 : 서용구 / 숙명여자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 "쇼핑 관광에서 컬처럴 투어리즘, 문화관광으로 (중국인 관광이) 패러다임이 변해…하이난 섬에 대형 중국 면세점이 생겨서 더 좋은 가격에 더 많은 제품을 살 수 있어 더 이상 한국 쇼핑의 장점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렇듯 뚜렷한 돌파구가 없는 상황 속 국내 1위 기업이 조직 슬림화에 나서자, 덩달아 업계 전반에 거센 칼바람이 불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올 하반기 희망퇴직까지 예고한 롯데면세점이 몸집 줄이기를 통한 반등에 나설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매일경제TV 구민정입니다. [ koo.minjung@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