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교육부 ‘국가연구소’ 사업 맞손…올해 4개 연구소 선정해 10년 간 1000억 투자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경쟁력 확보 목표
선정 대학의 예산 운용 자율성 보장
4월 말까지 신규 과제 접수 진행

국가연구소 사업 추진 전략 [사진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교육부는 국내 대학의 연구 역량과 연구지원 체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국가연구소(National Research Lab, NRL 2.0)’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국가연구소 사업은 과기정통부와 교육부가 협업해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선도할 대학부설연구소를 선정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각 연구소는 10년 간 매년 100억원씩, 총 약 1000억원을 지원받게 된다.

올해 4개 연구소를 선정하며, 2026~2027년에도 매년 4개 연구소를 새롭게 선정할 방침이다.


선정된 연구소는 연구인력 확충, 연구시설·장비 구축, 국내외 공동 연구개발 등을 대학의 특성 및 강점 분야와 연계해 자유롭게 추진할 수 있으며, 예산 역시 자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현재 국내 대학들은 학과 중심 운영으로 인해 창의적 인재 양성과 선도적 연구 개발, 글로벌 연구 경쟁력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부처별로 분산된 지원으로 대형‧융복합 연구 수행을 위한 연구 임계규모 확충이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학령인구 감소와 해외 인재 유출도 혁신적 연구생태계 구축에 방해 요소로 꼽힌다.


이같은 어려움 속에서 정부의 이번 국가연구소 사업이 국내 대학에 산적한 난제를 풀 수 있는 돌파구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국가연구소(NRL 2.0) 사업 목표 [사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업 추진의 기본 방향은 크게 세가지다.

첫째,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소수의 대학부설연구소를 선정한다.

둘째, 부처·학문·주체 간의 경계를 허물어 연구소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행·재정적 지원을 병행하며, 대학 내 학과 및 외부 연구기관과의 협력도 활성화한다.

셋째, 대학별 자율적 투자를 보장해 연구·인력·시설 등을 패키지 형태로 지원하고, 각 대학의 발전 전략과 연계해 독창적이고 다양한 연구 혁신 시스템을 구축한다.


과기정통부와 교육부 역시 앞장서 부처 간 벽을 허물고, 사업의 기획부터 추진, 성과관리까지 전주기적으로 협업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와 교육부는 관련 사업 기본 계획을 국가연구소 사업 추진위원회에서 심의해 이달 10일 확정·공고했다.

신규 과제 접수는 4월 말까지 받는다.

사업 지원 대상은 이공 분야 대학부설 연구소로, 기존의 연구소뿐만 아니라 기존 연구소의 재편 또는 신설 연구소도 해당된다.


신청 연구소에 대해서는 연구소의 역량 및 발전계획, 대학의 연구소 육성 의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정하게 된다.

선정된 연구소는 올해 9월부터 사업을 시작하며, 과기정통부와 교육부가 지속적으로 효율적 운영을 위해 지원할 예정이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첨단 연구의 전초기지인 대학의 연구 경쟁력 향상은 국가적으로 매우 시급한 과제”라며 “새롭게 추진되는 국가연구소 사업이 국내 대학의 연구역량 제고와 선도형 연구시스템 확충에 기폭제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국가연구소 사업으로 대학의 연구 경쟁력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려, 국내 대학의 연구소가 국제사회의 연구 혁신을 이끌고 국내·외 우수한 인재들이 몰려드는 연구 거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과기정통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달말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한 설명회도 개최할 방침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