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비뼈가 동맥·정맥 압박해 발생
근본 치료 위해 ‘수술’할 수도
최근엔 로봇 수술로 빠르게 회복
 |
(서울아산병원) |
현대인은 대부분의 시간을 앉아서 보낸다.
오랜 시간 앉아 있다 보면 알게 모르게 목이 앞으로 빠지고 허리가 구부정해진다.
잘못된 자세로 앉는 시간이 길어지면 목이 뻐근하다.
그런데, 여기에 손팔이 저리거나 붓고 손가락 근육 위축까지 동반된다면 ‘흉곽출구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을 의심해볼 만하다.
흉곽출구증후군은 팔로 향하는 신경이나 동맥·정맥을 쇄골 안쪽 1번 갈비뼈가 압박해 생기는 질환이다.
목과 흉곽 상부 사이 좁은 통로에는 가슴에서부터 팔로 이어지는 쇄골 아래 동맥과 정맥, 그리고 상완신경총이 지나간다.
이때 외상이나 반복적인 움직임, 또는 신체 구조에 의해 이 부분이 압박을 받으면 흉곽출구증후군의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난다.
눌리는 부위에 따라 신경성·동맥성·정맥성 흉곽출구증후군으로 나뉘며, 이 중 90% 이상은 신경성이다.
흉곽출구증후군은 통상 비수술적 치료로 통증을 완화한다.
약물 치료로는 진통소염제, 항우울제, 항염증제, 또는 수면유도제, 근이완제 등을 투여한다.
주사 요법으로 통증 유발점 주사, 전 사각근 차단술을 사용해 효과를 볼 수 있다.
다만 근본적 치료를 위해서는 1번 갈비뼈 절제를 통해 눌렸던 신경과 혈관의 압박을 해소해야 한다.
최근에는 로봇 수술 등이 활용된다.
서울아산병원은 쇄골 상부 절개 후 갈비뼈 일부를 절제하는 일반적인 수술로 치료해오다 2022년부터 로봇 수술을 도입했다.
로봇 수술은 일반 수술에 비해 수술 시야 확보에 유리하다.
이를 바탕으로 주변 신경이나 혈관 손상 없이 섬세한 수술이 가능하다는 게 서울아산병원 측 설명이다.
김용희 서울아산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팀은 2005년 10월부터 2024년 7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흉곽출구증후군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 23명의 예후를 분석했다.
일반 수술을 받은 환자가 10명, 로봇 수술을 받은 환자가 13명이었다.
수술 후 통증 지수를 비교한 결과 로봇 수술이 3, 일반 수술이 4.5로 로봇 수술 환자의 통증 강도가 낮게 나타났다.
입원 일수도 로봇 수술 환자군이 평균 0.5일 더 짧아 회복도 빠른 것으로 확인됐다.
김용희 교수는 “흉곽출구증후군은 환자에게 큰 불편을 주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질환”이라며 “로봇 수술로 치료하면 안전하고 빠르게 회복 가능하니 증상이 의심되면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