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메리츠 인수 반대’ 입장 고수
청·파산땐 보험가입자 124만명 피해
MG손해보험 매각이 노조의 반발 때문에 3년 가까이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매각을 위해서는 인수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된 메리츠화재가 현장 실사를 진행해야 하는데, MG손보 노조 반대에 부딪혀 실사가 이뤄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예금보험공사는 노조에 업무방해금지 가처분 신청 등 법적 조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MG손보 노조와 경영진은 지난 7일 실사 진행 여부와 관련해 약 2시간 동안 협상을 진행했지만 결국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이 자리에서 노조는 ‘실사 반대’라는 기존 입장을 바꾸지 않고 고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는 예보와 메리츠화재의 실사 자료 요청에 대해서는 “검토해서 보낼지 말지를 결정하겠다”고 대응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가 입장을 굽히지 않으면서 실사는 또 다시 무산됐다.
계속되는 노조의 반대에 예보는 이르면 이번 주 초 실사 무산 관련 업무방해 금지 가처분 신청을 검토할 수 있다는 방침이다.
예보 관계자는 “실사 무산 관련 업무방해 금지 가처분을 내는 것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당초 메리츠화재는 MG손보 노조가 입장을 선회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실사에 들어갈 채비를 하고 있었다.
하지만 MG손보 노조는 우선협상 대상자 선정 이후 줄곧 메리츠화재 직원의 사무실 출입 자체를 막아온 것으로 전해졌다.
다음 협상 일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노조의 계속되는 반대로 실사가 무기한 연기되면서 메리츠화재의 인수가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앞서 예보는 MG손보가 2022년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이후 세 차례에 걸쳐 공개 매각을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했다.
작년에 메리츠화재가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돼 실사에 나섰지만 MG손보 노조가 반대하면서 실사가 중단됐다.
MG손보 노조가 실사에 반대하는 이유는 메리츠화재를 ‘위험한 인수자’로 보기 때문이다.
노조는 메리츠화재의 공격적인 사업 확장 방식, 대규모 구조조정 이력을 고려하면 메리츠화재를 신뢰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노조는 매각 방식에도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고용승계 의무가 없고 우량자산만 가져갈 수 있는 자산부채이전(P&A) 방식으로 매각이 진행된다는 점이 MG손보에 불리하다는 것이다.
자산과 부채를 모두 인수하는 인수합병(M&A) 방식을 취해야 한다는 것이 노조의 주장이다.
예보는 매각이 무산될 경우 MG손보의 청산·파산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김병환 금융위원장도 “MG손보에 선택지가 별로 남아 있지 않다”고 말한 바 있다.
청산·파산이 실현된다면 MG손보 가입자 124만명의 피해가 불가피하다.
이들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최대 5000만원을 보상받지만, 보험계약은 해지해야 하는 처지에 놓이게 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