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 아파트 거래가 늘고 가격도 회복세를 보이면서 지방 거주자의 원정 투자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4월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신고일 기준)는 4천840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작년 8월 4천91건을 찍은 뒤 4개월 연속 줄면서 작년 12월에는 1천790건에 그쳤지만, 올해 들어 4개월 연속 늘면서 4천건을 넘어섰습니다.

거래량 증가에 힘입어 서울 아파트 가격도 지난 3월 넷째 주 이후 12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서울은 아파트 거래와 가격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지방 거주자의 원정 투자도 늘고 있습니다.

4월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 4천840건 중 매수자가 지방 거주자였던 거래는 1천61건으로 21.9%를 차지했습니다.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건수가 1천건을 넘어선 것은 작년 8월 이후 처음입니다.

작년 9월부터 아파트 거래가 줄면서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도 감소, 작년 12월에는 408건에 그쳤지만, 올해 들어 서울 지역 아파트 거래가 회복 국면에 접어들면서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은 1월 564건, 2월 621건, 3월 785건, 4월 1천61건 등으로 늘고 있습니다.

원정 투자가 늘어난 데에는 전셋값 상승도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는 분석이 일각에서 나옵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1년 넘게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매맷값과 전셋값 격차가 줄어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수월해졌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시장의 서울 쏠림 현상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습니다.

상승세로 돌아선 서울 아파트값은 오름폭이 점점 커지고 있지만, 지방 아파트 시장은 여전히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 3월 넷째 주 0.01% 오른 이후 12주 연속 오르면서 6월 둘째 주 상승 폭이 0.10%로 커졌지만, 지방 아파트값은 여전히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미분양 아파트 적체 현상도 지방이 훨씬 심각합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4월 전국 미분양 주택 7만1천997가구 중 지방 미분양 물량이 5만7천342가구로 전체의 80%가량을 차지합니다.

KB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넘치는 미분양 물량, 주력 매수층인 젊은 세대의 지방 이탈 현상 등을 지방 부동산 시장 침체의 요인으로 꼽으면서 "지방도 시차를 두고 서울과 수도권 시장을 따라갈 가능성이 있지만 과거보다는 속도가 늦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 이명진 기자 / pridehot@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