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대규모 원금 손실 논란이 일고 있는 DLF 사태와 관련해 일괄적인 피해배상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이 구조적 문제점과 보상을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용갑 기자입니다.


【 기자 】
은행이 판매한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 DLF의 대규모 손실 논란.

은행원 개개인의 불완전판매를 넘어 은행 차원의 일괄적인 배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 인터뷰 : 제윤경 / 더불어민주당 의원
- "이 문제가 단지 개별 판매의 문제, 부실판매, 불완전판매만의 문제는 아니라는 지적을 하고 있거든요. 은행 전체가 책임져야 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접근해보셨으면 좋겠다, 이런 말씀드리고 싶고요."

▶ 인터뷰 : 윤석헌 / 금융감독원장
- "단순한 판매 시점에서 발생하는 문제뿐 아니라 전체적으로 체계의 문제가 있었다는 관점에서 그것을 보상으로 연계하는 방법도 고민해보겠습니다."

구조적 문제를 보상으로 연결하면 모든 소비자들이 보상의 대상에 포함되고, 일괄 배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앞서 은행들이 본점 차원에서 DLF 상품의 원금손실 가능성을 0%라고 직원들에게 교육했고,

금리하락으로 손실이 커지자 상품구조를 바꿔 판매를 지속하거나, 평가 배점을 높여 직원들에 실적달성을 독려하는 등 구조적 문제점이 드러난 바 있습니다.

국정감사장에 출석한 은행 경영진은 결국 머리를 숙였습니다.

▶ 인터뷰 : 함영주 / 하나금융지주 부회장
- "DLF 사태로 인해 손님들의 소중한 재산이 많이 손실이 난 부분에 대해서는 진심으로 안타깝게 생각하고 죄송한 마음입니다."

은행의 구조적 문제가 보상에 적용될 경우, 소비자 보상의 규모는 더 커질 전망.

한편, 금감원은 하나은행이 현장 검사에 앞서 지성규 행장의 지시로 작성했던 DLF 불완전판매 관련 자료를 고의로 삭제한 사실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매일경제TV 김용갑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