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국내 이동통신3사가 다음달 열리는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MWC 2025에서 신기술들을 선보입니다.
올해는 전통적인 통신 서비스보다는 AI 기술과 차별화 전략을 중점적으로 공개할 계획인데요.
특히 AI 생태계가 넓어지면서 반도체 기업들도 MWC에 대거 참석할 예정입니다.
이번 MWC에서는 어떤 기술들이 나올 예정인지 조문경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 기자 】
다음 달 3일부터 6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 2025.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인 만큼, 국내 이통3사가 모두 출격합니다.

CES에 이어 올해 MWC의 핵심 주제 역시 'AI'입니다.

최근 AI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인 통신 3사 CEO들 역시 총출동합니다.

통신 3사 중에서는 SKT가 가장 큰 규모로 전시장을 마련하고, AI 혁신기술들을 대거 선보입니다.

SKT는 'AI 데이터센터' 기술을 선보일 에정인데, 특히 보안 기술인 '시큐어에지'를 앞세울 방침입니다.

시큐어에지는 내부 데이터부터 디바이스, 개인정보까지 종합적으로 보호하며 원격 해킹 시도를 차단하는 기술입니다.

아울러 거대언어모델, LLM을 결합한 텔코 AI 에이전트 통신 AI 기술도 다수 공개합니다.

한국 문화와 AI 기술을 결합해 체험 공간을 구성하는 통신사도 있습니다.

KT는 K-문화와 AI를 결합한 7개의 테마 공간을 마련한다는 계획입니다.

광화문빌딩을 참고한 K-오피스에서는 AI 기반 업무 효율화 기술을 선보이는가 하면,

미래 경기장 콘셉트 공간인 'K-스타디움'에서는 AI 실시간 번역 기술이 적용된 경기장 아나운서를 소개합니다.

KT는 또 AI가 음성과 영상뿐만 아니라 실감형 통화까지 제공하는 '멀티모달 통신' 기술도 공개합니다.

LGU+는 올해 MWC에서 창사 이래 처음으로 단독 부스를 마련합니다.

AI 사업 강화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는 만큼, 글로벌 무대에서 입지를 다지겠다는 의지로 풀이됩니다.

LGU+는 특히 강화된 보안 기술을 강점으로 내세울 계획인데, 맞춤형 AI 에이전트 '익시오'와 보이스피싱 방지 기술 '안티딥보이스', 자체 개발한 통신 특화 AI 모델 '익시젠' 등이 대표적입니다.

전시장 중앙에는 AI 기반 미래 생활 공간을 구현한 '익시퓨처빌' 조형물을 배치해 관람객들의 시선을 끌겠다는 전략입니다.

이 밖에도 올해 MWC에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들도 참가해 AI반도체 기술을 선보일 방침입니다.

AI 생태계 주도권을 둘러싼 치열한 경쟁이 이어지는 가운데, 어떤 혁신 기술이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을지 주목됩니다.

매일경제TV 조문경입니다.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