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발 강달러 현상 지지
“트럼프 공정한 무역 원해”
“파월 옳은 일 할 것” 신뢰
![](https://imgmmw.mbn.co.kr/storage/news/2025/02/07/3038AD36-9157-4A68-ABAB-511D1B2A1446.jpg) |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 연합뉴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차별적인 관세 정책으로 달러 강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강달러 정책을 이어갈 뜻을 밝혔다.
베센트 장관은 6일(현지시간)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강달러 정책은 트럼프 대통령과 전적으로 일치한다”며 “우리는 달러가 강세를 유지하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1기 때처럼 무역적자 해소를 위해 달러 가치를 낮출 것으로 전망해 왔다.
달러 가치를 인위적으로 낮추는 제2 플라자합의 가능성도 제기됐다.
그러나 베센트 장관이 강달러 기조를 천명한 배경에는 현재 밀어붙이고 있는 관세 정책을 유지할 것이라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분석된다.
강달러가 미국의 수출품의 가격경쟁력에 불리하지만 ‘관세의 무기화’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미국이 상대국에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 내 수입품 가격 인상에 따라 금리 인상 압박이 발생하고 이는 달러 강세로 이어진다.
그는 “우리가 원하지 않는 것은 다른 국가들이 그들의 통화를 약화하고 무역을 조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공정한 무역을 원하며 그 일환으로 통화와 무역 조건에 관한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베센트 장관은 그동안 비판적인 입장을 보여 온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에 대해서는 “옳은 일을 할 것”이라고 말해 신뢰를 재확인했다.
그는 “내가 이야기할 모든 것은 연준이 과거에 한 일”이라며 “미래의 통화정책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다.
비판도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통화정책에 대한 언급은 피하는 한편 정부가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을 낮추는 정책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2기에서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이 낮아질 것이란 견해도 거듭 반복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연준의 고금리 정책에 대한 불만을 표시하자 그의 참모진이었던 베센트 장관은 지난해 ‘그림자 연준 의장’ 구상을 내놓기도 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