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위기의 K-반도체…정부, 내년까지 반도체 생태계 8.8조 투입

【 앵커멘트 】
최근 국내외 주요 반도체 관련 기업들이 줄줄이 실적을 발표했는데요.
엇갈린 성적표를 받아들이며, 반도체 업계의 양극화가 더욱 심화하는 모습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스튜디오 나와 있는 취재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조문경 기자, 안녕하세요.

【 기자 】
네, 안녕하세요.

【 앵커멘트 】
대만의 1위 파운드리 업체 TSMC가 어제(17일) 호실적을 발표하며, 반도체 겨울론을 무색하게 만들었죠?

【 기자 】
네, 그렇습니다.

TSMC는 올해 3분기 순이익이 지난해 대비 약 54% 증가해 우리 돈으로 약 13조8천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는데요.

3분기 매출 역시 지난해 보다 36% 증가했는데, 이는 시장 예상치보다 상회한 실적입니다.

이에 반해 첨단 공정 장비를 사실상 독점 공급하고 있는 네덜란드 기업 ASML은 부진한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ASML의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시장 예상치를 소폭 상회했으나, 신규 수주금액이 예상보다 저조하게 집계됐는데요.

ASML의 3분기 신규 수주금액은 26억3천만 유로로 시장 예상치의 51%나 하회했습니다.

현재 반도체 업계의 희비를 가르는 것은 'AI'인데요.

AI 반도체 시장에서 선두를 달리는 엔비디아와 TSMC, SK하이닉스는 수요가 몰리며 호실적이 예상되는 반면, 삼성과 인텔은 적자를 기록하며 실적이 부진한 상황입니다.

【 앵커멘트 】
아무래도 AI 반도체 시장에 수요가 대거 몰리다 보니, 우리 기업들도 HBM 개발에 더 힘쓸 수밖에 없을 것 같은데요.
국내 기업들이 HBM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 기업들의 D램 시장 추격세도 매우 거세다고요?

【 기자 】
네, 맞습니다.

미국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중국 기업들이 정부의 지원을 등에 업고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데요.

D램 시장 뿐만 아니라 낸드플래시와 HBM과 같은 첨단 분야에서도 한국과의 기술 격차를 좁혀오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의 1위 메모리 반도체 기업인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 CXMT의 성장세가 거센데요.

CXMT의 주력 생산 D램은 급격하게 고도화되고 있는데, 삼성과 SK와 비교해도 3세대 정도의 격차 밖에 나지 않는 상황입니다.

그동안 중국이 한국에서 기술과 인력을 빼돌리며 기술 격차를 확 좁힌 건데요.

5년 정도 차이가 나는 D램 시장과 비교해 낸드 시장에서는 2년 정도 밖에 되지 않아 더욱 위협적이라는 게 업계의 시선입니다.

【 앵커멘트 】
이렇게 중국의 거센 추격으로 K-반도체가 위기에 빠진 가운데, 반도체 산업 성장에 있어 핵심인 '인력'도 부족한 상황인데요.
반도체 인력에 대한 수요는 갈수록 느는데, 가동 인력은 갈수록 부족해지고 있죠?

【 기자 】
네, 그렇습니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 따르면 차세대반도체 산업 인력 수요는 2021년 기준 5만6천여 명에서 오는 2031년까지 9만8천여 명으로 향후 10년 동안 연평균 5.7% 높아집니다.

그러나 수요가 증가하는 만큼 인력 부족률은 더 커지고 있는데요.

특히 전체 부족 인력 중 절반이 넘는 58%가 연구개발 직무에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연구개발 직무에서 공백이 커질 것으로 전망되자 국내 기업들도 인재 확보를 위해 투자를 아끼지 않는 모습인데요.

직접 주요 공과 대학생들을 위한 채용 행사를 진행하고, 교육생들을 직접 육성하는 등 여러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국내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 인력 확보나 기술 개발을 위한 투자에 힘쓰고는 있지만, 산업계에서는 정부의 직접적인 지원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끊이질 않고 있는데요.
정부의 파격 대책 없이는 한때 낸드업계 세계 1위였다가 몰락한 일본의 도시바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죠?

【 기자 】
네, 지난 14일 한국경제인협회는 역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들을 한 자리에 모아 반도체산업 관련 특별 대담을 진행했는데요.

이 자리에서 반도체 전문가들은 산업 경쟁력 유지를 위해서는 보조금 지급 대책을 포함해 정부가 전방위 지원을 해야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또한 현재 한국의 D램 기술이 중국과 3~4년 격차 밖에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는데요.

특히 전직 장관들은 첨단 산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이른바 '전력망 특별법'의 국회 통과가 시급하다고 호소했습니다.

【 앵커멘트 】
이런 가운데 정부도 곧바로 반도체 정책을 구체화해 발표했죠.
내년까지 국내 반도체 산업에 8조8천억 원을 지원하겠다는 계획인데, 어떤 내용인가요?

【 기자 】
네, 정부는 내년까지 9조원에 가까운 반도체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는데요.

구체적으로 보면 대출 지원에 4조3천억 원, 재정지원에 1조7천억 원, 용수와 전력 등 인프라에 2조4천억 원을 투입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다만, 전체 지원의 절반인 금융지원이 사실상 대출 저금리 지원이라는 점에서 아쉽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아울러 인프라 중 전력망 구축비용 분담을 놓고서도 여전히 정부와 한국전력, 기업들 간 이견이 큰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미국과 일본, 중국 등 주요국 정부들이 직접 보조금 지원에 나선 만큼, 한국 정부의 보조금 지원 여부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잠시 전문가들 의견 듣고오겠습니다.

▶ 인터뷰(☎) : 박재근 /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장
- "(보조금 지급) 근거법이 없기 때문에 빨리 특별법이 만들어지는 게 급선무고요. (대기업이) 차량용 반도체와 같은 신사업을 한다든지 이런거는 보조금을 줘야한다…우리나라 소부장업체가 상대적으로 열악한데, 보조금을 주는 정책을 써야되는 거죠."

▶ 인터뷰(☎) : 김양팽 /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
- "보조금을 직접 지급함으로써 나타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장담할 수 있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대출 (지원) 같은 경우 기업이저리 융자를 이용해 투자를 확대할 수 있는 효과는 분명히 있고…."

직접 보조금에 대한 전문가들의 엇갈린 평가가 나온 가운데, K-반도체 산업의 성장을 위한 정부와 학계, 산업계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반도체 강국이라는 타이틀을 지키기 위해 우리나라도 정부와 산업계가 합심해 위기를 돌파했으면 좋겠네요.
조 기자 잘 들었습니다.

[조문경 기자 /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