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제공
제조업 분야 대기업 생산이 11개월째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국의 경기회복이 지연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7월에는 출하·재고 지표까지 일제히 악화하면서 정부의 경기 '상저하고' 전망에 대한 회의론도 고개를 드는 모습입니다.

오늘(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7월 제조업의 대기업 생산지수는 105.7(2020년=100·불변지수)로 1년 전보다 9.6% 줄었습니다.

전년 동월 대비 제조업의 대기업 생산은 지난해 9월(-0.3%) 이후 11개월째 줄고 있습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5년 1월 이후 최장 마이너스 행진입니다.

대기업 생산 감소 폭은 지난 1월 14.7%로 정점을 찍은 뒤 지난 6월 7.7%까지 낮아졌지만 7월 다시 확대됐습니다.

1∼7월 누계 기준 제조업 대기업 생산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9% 줄었습니다.

7월 제조업 대기업 지표는 생산뿐만 아니라 출하·재고 지수 모두 전달보다 악화하면서 하반기 경기에 대한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7월 제조업의 대기업 출하는 1년 전보다 5.2% 줄면서 두 달 만에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섰습니다.

채용시장에 영향이 큰 대기업의 생산 부진은 경기 후행지표인 고용으로 영향이 확대되는 모습입니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올해 1월부터 7개월 연속 감소했습니다.

통계청 관계자는 "대기업 업종별로 보면 반도체·전자부품·화학제품 등이 지난해와 비교해 좋지 않다"라며 "지난해 상황이 좋았던 것에 대한 기저효과 영향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 윤형섭 기자 / yhs931@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