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제공 |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이 1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고, 전체 대출 연체율까지 지난해의 약 두 배에 이르면서 한국은행과 정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한은의 경우 이자 부담에 따른 연체율 상승 등의 고통을 감내하고라도 물가를 억제하고 가계대출 수요를 줄인다며 통화 긴축 기조를 고수해왔지만, 긴축 효과는 갈수록 사라지고 부작용만 커져 난감한 입장입니다.
일단 금융당국이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한도 축소 등 건전성 정책으로 대응에 나섰지만, 규제 도입 과정에서 오히려 가계대출 가수요가 몰리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오늘(3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말 가계대출 잔액은 680조8천12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7월 말(679조2천208억 원)과 비교해 한 달만에 1조5천912억 원 늘었습니다.
5월 이후 4개월 연속 증가일 뿐 아니라, 8월 증가 폭(1조5천912억 원)은 2021년 11월(2조3천622억 원) 이후 1년 9개월 만에 최대입니다.
특히 최근 가계대출 증가세를 주도하는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8월에만 2조1천122억 원(512조8천875억 원→514조9천997억 원)이나 뛰었습니다.
2조 원대 주택담보대출 월별 증가액은 2022년 12월(2조3천782억 원) 이래 8개월 만에 처음입니다.
이런 추세로 미뤄 전체 은행권과 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세도 4월 이후 8월까지 5개월 이어졌을 것이 확실시됩니다.
지난달 은행권과 금융권 가계대출은 각 6조 원, 5조4천억 원 불어난 데 이어 8월 증가 폭이 더 커졌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처럼 가계대출이 빠르게 다시 늘어나는 가운데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까지 계속 나빠지면서, 부실 위험에 대한 우려와 긴장이 더 고조되고 있습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높은 금리와 실물경기 둔화로 회복 탄력성을 상실한 한계 기업과 가계를 중심으로 대출 부실이 늘어나고 있다"며 "여러 가지 유예 등 지원 정책과 함께 이연된 부실이 시간이 갈수록 점차 현실로 드러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24일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한 뒤 가계부채 문제에 대해 "가계부채가 연착륙하도록 노력하겠다"며 "규제 등 미시적 정책이 먼저고, 그다음이 거시정책이라고 생각한다. 지금은 (거시정책을 쓸) 상황까지는 아니라고 판단한다"고 밝혔습니다.
가계대출이 너무 많이 늘어나면 기준금리를 더 올릴 필요가 있지만, 경기 위축이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문제 등을 고려할 때 한은으로서는 쉽게 인상을 결정하기 어려운 입장입니다.
당국은 지난달 은행권 등과 여러 차례 회의를 거쳐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인터넷은행의 공격적 주택담보대출 영업 등을 가계대출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꼽고 해결 방안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 윤형섭 기자 / yhs931@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