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퓨처엠, 포항에 1.7조 투자해 배터리 소재 생산능력 높인다

포스코퓨처엠이 포항에 총 1조7천억 원을 투자해 양극재용 전구체와 음극재 생산능력 확대에 나섭니다.

포스코퓨처엠은 오늘(3일) 화유코발트, 경상북도, 포항시와 전구체와 음극재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투자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투자양해각서에 따르면, 포스코퓨처엠은 세계 최대의 코발트 생산 기업인 화유코발트와 합작사를 설립하고 약 1조2천억 원을 투자해 배터리용 양극재의 중간소재인 전구체와 고순도 니켈 원료 생산라인을 건설합니다.

공장은 2027년까지 포항 블루밸리산단 내 26만7천702m²규모로 들어설 예정입니다.

포스코퓨처엠은 원료 조달에 강점이 있는 화유코발트와의 니켈ㆍ전구체 투자로 포항 영일만 일반산업단지에 건설 중인 연산 10만6천 톤 규모의 양극재 생산기지와 연계한 니켈-전구체-양극재 밸류체인 클러스터를 완성한다는 계획입니다.

현재 연산 10만5천 톤의 양극재 글로벌 양산능력을 2030년까지 61만 톤으로 확대할 계획인 포스코퓨처엠은 전구체도 연산 1만5천 톤에서 44만 톤으로 생산능력을 확대해 전구체의 자체 생산비율을 14%에서 73%까지 높일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약 5천억 원을 투자해 포항에 음극재 생산공장 추가 건설도 추진합니다.

포항 블루밸리산단 내 19만9천720㎡ 부지에 2025년까지 공장을 건설할 계획입니다.

포스코퓨처엠은 현재 세종에서 7만4천 톤의 천연흑연, 포항에서 8천 톤의 인조흑연 음극재를 양산하고 있으며, 전기차 시장 성장에 따른 음극재 수요 증가에 대응해 생산능력을 2030년 32만 톤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또한, 전기차 고성능화에 발맞춰 소재 기술 개발을 위한 R&D 투자를 지속해 흑연계뿐만 아니라 충전 성능 향상 등에 필요한 실리콘·전고체 배터리용 리튬메탈 음극재까지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한다는 방침입니다.

포스코퓨처엠 김준형 사장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선도하고 있는 포항시에 배터리소재 투자를 지속 확대해 K-배터리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현연수 기자 / ephal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