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제공
초등교원 임용시험에 붙고도 학교에 배치받지 못한 '예비 교사'들의 기간제 지원이 늘고 있습니다.

오늘(29일) 교육계에 따르면 최근 서울 지역 초등학교 기간제 교사 채용에 임용 대기중인 예비 교사들이 응시하는 경우가 눈에 띕니다.

기간제 교사는 교원 자격증이 있다면 지원할 수 있습니다.

그간 교대를 졸업해 교원 자격증이 있지만 임용시험에 합격하지 못한 이들이나 퇴직한 교원이 주로 지원해왔습니다.

최근에는 교육대학교나 초등교육과를 졸업하고 임용시험에 합격했지만 정식 발령이 나지 않은 '임용 대기자'가 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기간제 교사는 방학과 성과급이 있는 1년짜리가 가장 인기가 많은데 최근 예비 교사들의 지원이 늘면서 경쟁률도 높아지는 모습입니다.

서울 강남구의 한 공립 초등학교는 최근 1년짜리 기간제 교사 3명을 뽑는 공고를 냈는데 지원자 18명 가운데 8명이 예비 교사였습니다.

동대문구의 다른 공립 초등학교도 1년짜리 기간제 교사 1명을 뽑는 공고에 지원한 19명 가운데 5명이 예비 교사였습니다.

교사 임용 적체 현상인데 이는 어제오늘 일이 아닙니다.

서울시교육청은 2017년 공립 초등교사를 800명 이상 선발했지만, 임용 대기자가 늘자 2018년부터 300명대로 선발 규모를 줄였습니다.

최근 100명대로 더 줄었으나 올해 임용시험 합격자 114명은 모두 대기 중입니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민형배 의원에 따르면 2017년 이후 초등교사 임용시험 합격자의 평균 대기기간은 서울이 15.6개월로 가장 길었고, 대전 13.4개월, 전북 13.2개월 등이었습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정부에서 (신규교원 선발규모) 감축을 많이 하고 있으나 교원은 최소한의 규모는 뽑아야 하는 상황"이라며 "교원 수요가 다양하니 적정 규모로 정원을 줄여달라고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 윤형섭 기자 / yhs931@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