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출범 이후 코스피 지수가 46개월 만에 3,200선을 회복하는 등 '불장'이 이어지자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개인투자자들의 관심이 시들해지고 있습니다.
글로벌 증시 전반에 '타코(TACO·트럼프는 항상 겁먹고 물러난다는 뜻) 트레이드'로 불리는 위험자산 선호 추세가 거세진 가운데 중국발 금 수요가 둔화하면서 두 달 넘게 수익률이 제자리를 맴돌고 있어서습니다.
22일 한국거래소(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개인투자자들은 이달 1일부터 21일까지 KRX 금시장에서 총 159억 원 상당의 금을 순매도했습니다.
특히 21일에는 하루 동안에만 111억 원어치를 순매도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KRX 금시장에서 개인투자자들은 작년 3월 이후 15개월 연속 순매수 행진을 이어왔는데 이러한 흐름이 끊긴 것입니다.
작년 4월부터 올해 6월까지 개인이 순매수한 금은 1조4천660억 원에 이르며, 이에 힘입어 KRX 금시장은 올해 상반기 거래량이 37.3t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양적 성장을 구가했습니다.
개인은 특히 미국 대선을 앞둔 작년 10월 1천513억 원을 순매수했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발표하기 전인 올해 3월에는 한 달 사이 3천288억 원을 순매수하며 정점을 찍었습니다.
하지만 이후로는 4월 436억 원, 5월 906억 원, 6월 607억 원 등으로 순매수 규모가 크게 줄다가 이달 들어 매도 우위로 전환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이는 국제 금 시세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탓이 큽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작년 말 온스당 2천600달러대 초반이었던 국제 금가격은 올해 4월 22일 기준 온스당 3,487.94달러까지 올랐으나, 이후 소폭 하락한 뒤 횡보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달 21일 기준 국제 금 시세는 온스당 3,369.86달러 수준입니다.
[ 고진경 기자 / jkkoh@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