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즈오 총재 “올해 日성장률 전망치
기존 1.1%서 0.5%로 0.6%P 낮춰”
 |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 [매경DB] |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BOJ) 총재가 27일 “일본의 물가상승률이 현재 1.5~2.0% 수준으로, 지난 30년간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그는 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과 교도통신 보도에 따르면, 우에다 총재는 이날 도쿄에서 열린 일본은행 주최 국제 컨퍼런스에서 “쌀을 비롯한 식료품 가격 상승으로 일본의 소비자물가가 다시 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식료품 가격 상승의 영향은 점차 줄어들 것”이라며 “기조적(구조적) 물가상승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제 성장률과 물가 상승률 전망이 실현된다는 전제하에, 앞으로도 점진적으로 정책금리를 인상해 금융완화 수준을 조정해 나가겠다”며 긴축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우에다 총재는 최근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 조치와 관련해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매우 높아진 상황”이라며 신중하게 정책을 결정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일본은행은 지난해 3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17년 만에 금리를 인상해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종료했으며, 작년 7월에도 추가적으로 금리 인상을 단행하는 등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에서 벗어나는 중이다.
대규모 완화 정책은 장기간 디플레이션에 시달린 일본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초저금리와 대규모 통화 공급을 유지한 조치였다.
하지만 일본은행은 이달 1일 회의에서는 기준금리를 두 차례 연속 0.5% 수준에서 동결했다.
미국의 관세 정책 등 대외 변수들을 고려한 조치로 해석된다.
이와 함께 일본은행은 2025 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보다 0.6%포인트 낮은 0.5%로 하향 조정했고, 물가상승률 전망치도 2.4%에서 2.2%로 소폭 낮췄다.
일본은행의 다음 금융정책결정회의는 오는 6월 16~17일에 열릴 예정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