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챗GPT 생성 이미지] |
미국발 '관세 전쟁'이 한국 수출 산업에 그림자를 드리운 가운데, 반도체를 제외한 국내 제조업 전반의 5월 업황이 악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산업연구원이 7일부터 11일까지 업종별 전문가 12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월 제조업 업황에 대한 전문가 서베이 지수(PSI)는 73으로, 전달(99)보다 26포인트 하락하며 기준치 100을 크게 밑돌았습니다.
PSI는 100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업황 개선 응답이 많고, 0에 가까울수록 악화 응답이 많은 것을 의미합니다.
세부 지표 중 수출 전망은 65로 전달(96)보다 급락했고, 내수(81), 생산(79), 투자(80) 등도 기준치를 밑도는 등 전반적인 업황 둔화가 예상됩니다.
업종별로는 반도체만이 110으로 기준선을 상회했으며, 디스플레이(79), 전자(46), 자동차(46), 조선(93), 기계(75), 화학(80), 철강(78), 섬유(53) 등 대부분의 업종에서 업황 악화가 전망됐습니다.
또한 4월 제조업 업황 현황 지수도 80으로 전달(107)보다 27포인트 떨어져 기준치 아래로 다시 내려앉았습니다.
[ 현연수 기자 / ephal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