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제공
코로나19 유행 기간 늘어난 소아·청소년 비만 환자 수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중학생 비만 환자는 4년 전보다 약 3배로 늘었습니다.

오늘(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아동 청소년 비만 및 만성질환 진료 현황'에 따르면, 작년에 비만으로 진료받은 중학생(13∼15세)은 951명으로 2018년(304명)보다 3.13배로 늘었습니다.

중학생 비만 환자는 코로나19 유행 기간이던 2021년에 1천304명으로 크게 늘었다가 작년(951명)에 27%가량 감소했으나, 4년 전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입니다.

지난해 초등학교 저학년(7∼9세) 비만 환자는 2018년보다 1.73배로, 초등학교 고학년(10∼12세)은 2.37배로, 고등학생(16∼18세) 2.25배로 각각 늘었습니다.

당뇨(2형) 진료를 받은 초등학교 고학년은 작년 757명에서 2018년 473명으로 1.6배로, 중학생은 1천143명에서 1천932명으로 1.7배로 각각 늘었습니다.

신현영 의원은 "아동·청소년의 비만은 단순히 비만으로 끝나지 않고 당뇨병, 고혈압 등 만성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코로나 시기에 신체 활동 저하 등으로 만성질환 진료를 받은 아동 청소년 환자가 급격히 늘었고, 최근 탕후루 등 달콤한 간식까지 유행하고 있어 건강관리에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 윤형섭 기자 / yhs931@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