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제공 |
우리나라의 가계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을 웃도는 규모로 가파르게 불어나면서 비교가능한 26개국 가운데 최고 증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업부채까지 급증하면서 민간부문 부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습니다.
중앙정부 역시 부채에서 자유롭지 못한 형국입니다.
글로벌 고금리의 장기화가 예고되면서 한국경제 3대 주체 모두 리스크 관리에 비상등이 켜진 모습입니다.
오늘(3일) 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업데이트한 '세계부채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해 108.1%를 기록했습니다.
5년 전인 2017년(92.0%)보다는 16.2%포인트 증가했습니다.
민간부채(가계·기업) 데이터가 집계되는 26개국 중에서 유일하게 두자릿수대 증가폭입니다.
한국에 이어 슬로바키아 9.1%포인트, 일본 7.7%포인트, 요르단 6.0%포인트, 룩셈부르크 3.9%포인트, 칠레 2.8%포인트, 스위스 2.5%포인트, 독일 2.3%포인트 순이었습니다.
미국(79.5→77.0%)을 비롯해 캐나다, 네덜란드, 영국, 오스트리아, 덴마크 등은 가계 부채 비중이 감소했습니다.
한국의 가계부채 비중이 빠르게 늘면서 절대 수준도 스위스(130.6%)에 이어 2위로 뛰어올랐습니다.
2017년에는 26개국 중 7위였습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저금리 속에서 주택담보대출이 많이 늘어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며 "대량으로 주택담보대출이 이뤄지는 우리나라 특유의 주택구입 시스템과 맞물린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윤형섭 기자 / yhs931@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