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와이파이 중계기 100개 중 16개가 노후화했지만, 교체 사업 예산은 거의 편성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고민정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공공장소 공공 와이파이 구축·운영 및 노후화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공공와이파이 중계기(AP) 중 내년까지 내구연한(7년)이 도래하는 중계기는 모두 1만4천758개에 달합니다.
주요 관공서나 터미널 등 전국의 공공장소에 설치된 전체 공공와이파이 중계기 9만318대의 16.3%에 해당하는 숫자입니다.
그러나 노후 장비 교체를 위해 필요한 '무선인터넷 인프라 확대 구축' 예산은 올해 128억2천100만 원에서 내년 3억9천500만 원으로 무려 97% 삭감됐습니다.
예산 삭감에 따른 교체 사업에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커진 겁니다.
이에 노후 AP 교체가 늦어지면 공공장소 와이파이가 완전히 끊어지지 않더라도 통신 품질 저하는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고민정 의원은 "정부는 가계통신비를 인하하겠다고 강조하면서 정작 통신비 인하 효과가 증명된 공공 와이파이 노후 중계기 교체 예산 등을 대폭 삭감했다"며 "이는 최근 윤석열 대통령이 뉴욕 디지털 비전 포럼에서 강조한 '디지털 접근권 강화'에도 역행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조문경 기자 /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