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그룹-조지아주, 정몽구 명예회장 때부터 각별한 협력 관계
현대자동차그룹이 세계적 명문 공과대학으로 꼽히는 미국 조지아공대와 손잡고 배터리, 수소 에너지, 소프트웨어 등 미래 모빌리티 관련 산학협력에 나섭니다.
현대차그룹과 조지아공대는 현지시간 19일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시에 있는 조지아공대에서 '미래 모빌리티 협업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체결식에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장재훈
현대차 사장, 호세 무뇨스
현대차 글로벌 최고운영책임자(COO) 사장, 김용화
현대차·
기아 최고기술책임자(CTO) 사장, 앙헬 카브레라 조지아공대 총장, 소니 퍼듀 조지아주 공립대학협의회 의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파트너십 체결에는 글로벌 주요 대학과의 산학협력에 대한 정의선 회장의 의지가 반영됐습니다.
정 회장은 조지아주 전기차 신공장 건설현장 방문 당시 조지아공대와 협력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통상 조지아 테크로 불리는 조지아공대는 영국 대학평가 기관 THE(Times Higher Education)와 QS(Quacquarelli Symonds)가 올해 발표한 글로벌 공대 순위에서 각각 11위와 12위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기계공학, 전자공학, 산업공학 등 미래 모빌리티 연관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 역량과 인재를 확보하고 있다고
현대차그룹은 설명했습니다.
향후
현대차그룹과 조지아공대는 지속가능한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구현을 위해 미래 기술 산학협력, 우수 인재 발굴, 인재 육성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다각적으로 협업할 계획입니다.
양측은 배터리, 수소 에너지, 소프트웨어, 운전자 지원시스템(ADAS) 등 연구개발 과제를 선정해 조지아공대 교수진과
현대차그룹 미국기술연구소(HATCI), 남양연구소가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조지아공대가 육성하는 학생 스타트업 중 유망한 곳을 선정해 지원하고 협력하는 방안도 모색합니다.
조지아공대 학생들에게도 공동 연구개발 프로젝트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대학원생 대상 연구 프로그램 후원,
현대차그룹 하계 인턴십 운영, 졸업 프로젝트 협업 및 후원, 조지아공대 주관 취업설명회 참여 등을 통해 우수 인재 연계 채용도 추진합니다.
아울러 북미 지역에서 근무하는
현대차그룹 직원들이 조지아공대에서 생산기술 역량 강화 프로그램,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등을 받도록 하는 등 인재 육성 분야에서도 협력합니다.
장재훈 사장은 체결식에서 "
현대차그룹은 모든 인류가 이동의 자유를 즐기며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는 미래를 만드는 데 막중한 사명감을 느끼고 있다"며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수소 경제, 인력 개발,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분야의 미래를 조지아공대와 함께 그려나갈 수 있게 돼 기쁘다"고 말했습니다.
조지아공대와의 이번 파트너십 체결에는 정몽구 명예회장 시절부터 이어진
현대차그룹과 조지아주 간 각별한 인연이 중요 배경 중 하나로 작용했습니다.
2006년 정몽구 명예회장과 정의선 당시
기아 사장은 미국 첫 생산기지를 조지아주 웨스트포인트로 선정했습니다.
현재 조지아주 공립대학협의회 의장으로 이번 체결식에 참석한 소니 퍼듀 당시 주지사 등 조지아주 관계자들도 적극적인 협력 의지를 보였습니다.
이후 2009년 첫 가동을 시작한
기아 조지아 공장은 현재까지 14년간 400만 대 이상의 차량을 생산했고,
기아의 미국 시장 내 브랜드 구축에 핵심 역할을 한 생산 거점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현대차그룹이 여러 후보지 중에서도 조지아주 서배너에 전기차 전용 신공장을 짓기로 한 것도 선대로부터 이어진 끈끈한 협력과 조지아공대 같은 우수한 연구시설의 존재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현대차그룹은 조지아주를 비롯한 미국 남동부를 북미 전동화 시장 공략의 핵심 거점으로 삼고 전기차 전용 신공장뿐 아니라 배터리셀 합작공장, 배터리시스템 공장 등을 건설 중입니다.
기아 조지아 공장에서는 내년부터 전기차가 생산되며,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은 올해 제네시스 GV70 전동화 모델을 시작으로 전기차 생산을 확대해나갈 계획입니다.
[ 이유진 기자 / ses@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