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 중인 청년.[사진 연합뉴스]
취업 후에도 학자금 대출을 제때 갚지 못하는 청년들의 비중이 1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취업 후 상환 학자금의 의무 상환 대상자는 29만1천830명이었습니다.

18만4천975명이었던 2018년과 비교하면 57.8% 증가한 수치입니다.

취업 후 학자금 상환 제도는 대학생에게 등록금 전액과 생활비(연 300만 원 한도)를 대출해주고 소득이 발생한 후 소득 수준에 따라 상환하는 제도입니다.

상환 의무가 발생했는데도 갚지 못한 체납 학자금은 더 빠른 속도로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학자금 체납액은 552억 원으로 206억 원이었던 2018년의 2.7배 규모였습니다.

체납 인원도 2018년 1만7천145명에서 지난해 4만4천216명으로 2.6배 늘었습니다.

체납률은 금액 기준으로 15.5%였으며 이는 2012년(17.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졸업 후 일자리를 구하고도 학자금 대출을 못 갚을 정도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이 많아졌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 김두현 기자 / kim.doohyeon@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