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컴그룹 계열사이자 유전체 분석 및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기업인 한컴케어링크가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이 주관하는 '한국인 고혈압 관련 질병유전자 발현 조절 연구 기반 구축' 정책 연구용역과제의 수행 기관으로 선정되었다고 27일 밝혔습니다.

이번 과제는 질병관리청이 고혈압, 암, 당뇨 등 한국인의 10대 사망원인 질환에 대한 오믹스(Omics)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오믹스란 생물학 연구 분야에서 대용량 분석의 결과로 나오는 유전체, 전사체, 후성 유전체, 대사체, 단백체 등의 집합체 전부를 뜻합니다.

한컴케어링크는 이번 과제 수행을 위해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이 개발한 정밀 의료 연구 플랫폼인 차세대 한국인칩 v2.0(Korea Biobank Array v2.0)을 활용합니다.

'한국인칩'이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개발한 한국인 맞춤형 유전체분석칩으로 암, 당뇨, 고혈압, 치매 등 한국인의 주요 질환을 나타내는 약 83만 개 이상의 단일유전변이(SNP)를 담고 있으며, 기존의 한국인칩 v1.1에 정밀의료 활용성이 높은 임상 진단, 약물 반응 등 콘텐츠를 포함하여 약 168만여 개의 유전변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한컴케어링크는 이번 과제를 통해 한국인칩 v2.0을 활용하여 1만7천여 건의 한국인 고혈압 관련 유전자 발현 조절 오믹스 정보를 생산 및 분석할 예정이며, 약물 작용에 관여하는 유전체 정보를 분석해서 한국인칩 v2.0에 포함된 약물 유전체 마커를 검증하는 등 임상연구 및 정밀 의료 연구 발전에 힘을 보탤 계획입니다.

지난해 국내 최초로 한국인칩을 이용한 개인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시작한 한컴케어링크는 그동안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축적된 한국인칩 정보 생산 및 분석기술을 활용하여 고품질의 유전체 정보를 생산할 예정입니다.

이번 과제에는 한국인칩 전문가이자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인 원성호 한컴케어링크 유전체분석센터장과 문상훈 연구소장 등 생물정보(BI) 및 헬스케어 AI 전문인력들이 투입됩니다.

천창기 한컴케어링크 대표는 "그동안 축적한 유전체 분석 능력을 바탕으로 과제를 성공리에 수행해 질병관리청의 질환 원인 발굴 사업과 한국인칩 v2.0의 우수성을 알리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향후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사업 등 정부가 추진하는 다양한 국책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 고진경 기자 / jkkoh@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