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세계 3대 암학회로 꼽히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 대거 출격하면서 관련 성과에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AACR은 전 세계 120개국 제약·바이오 기업이 참여해 암 관련 지식과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연례 학술대회로 올해는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14일(이하 현지시간)일부터 19일까지 이어집니다.

국내 참가 기업들 가운데서는 한미약품이 가장 많은 7건의 연구 결과를 발표할 계획입니다.

한미약품에 따르면, 회사는 고형암 치료제로 개발 중인 EZH1/2 이중저해제 'HM97662', 암을 유발하는 치명적인 유전자 돌연변이를 표적하는 SOS1 저해제 'HM99462', mRNA 항암백신 등의 성과를 공개합니다.

한미약품그룹의 중국 현지법인 북경한미약품도 면역항암제 'BH3120'의 연구 결과를 함께 발표합니다.

이 물질에는 하나의 항체가 서로 다른 2개의 표적에 동시에 결합하게 하는 이중항체 플랫폼 '펜탐바디'가 적용됐습니다.

이밖에 CJ제일제당의 제약·헬스케어 독립법인 CJ바이오사이언스는 개발 중인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CJRB-101'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를 공개합니다.

또 HLB의 경우 항암 신약 '리보세라닙'의 연구 결과를 발표합니다.

HLB는 리보세라닙이 신생혈관생성 수용체를 효과적으로 저해하고 부작용도 낮다며 관련 연구 성과를 적극 알린다는 설명입니다.

이외에도 이번 학회에서는 메드팩토,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에이비엘바이오 등도 참가해 자사 항암 치료제에 대한 연구 성과를 뽐낼 예정입니다.

[ 길금희 기자 / golde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