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125%까지 인상했습니다.
동시에 한국을 포함한 70여 개국에는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며 관세율을 10%로 낮췄는데요.
하지만 방위비 분담금 문제를 무역협상과 연계할 수 있다고 시사하면서, 새로운 압박이 시작됐다는 해석도 나옵니다.
현연수 기자입니다.


【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를 시행한 지 13시간 만에 입장을 바꿨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 9일 자신의 SNS에 중국이 미국의 관세 조치에 맞대응했다며 "관세를 즉시 125%로 인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는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 관세만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인터뷰 :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보복하지 않은 국가들을 위해 관세를 90일 유예했습니다. 보복하면 관세를 두 배로 늘릴 것이라고 했고…중국은 보복했기 때문에 (125%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다만, 자동차, 철강 등 기존에 부과된 품목별 관세는 25% 그대로 유지됩니다.

이번 조치는 연이은 관세 부과로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의 주식 시장이 연일 폭락하는 상황에서 나왔습니다.

여기에 중국이 강경한 맞대응에 나선 것도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조치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됩니다.

상호 관세 유예로 나스닥은 간밤 새 12% 올랐고, 코스피도 개장과 동시에 4% 넘게 뛰는 등 글로벌 증시는 다시 한 번 요동쳤습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방위비 분담금 문제를 언급하며 주한미군 감축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통화한 이후 방위비 분담 문제를 무역 협상과 함께 다룰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습니다.

한미 양국은 바이든 정부 시절 체결한 협정에 따라, 2026년부터 2030년까지의 방위비 분담 규모를 이미 확정한 상태입니다.

상호관세와 방위비 분담을 둘러싼 논의가 이어지는 가운데, 향후 한미 협상 테이블에 어떤 변화가 생길지 주목됩니다.

매일경제TV 현연수입니다. [ ephal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