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지난해 서울의 주택 수 증가율이 통계 작성 시작 이래 가장 저조한 수준을 보였습니다.
서울 집값 상승 요인 중 하나로 지목되는 주택 공급 부족 현상이 통계청 통계에서도 확인된 셈입니다.
저출생 고령화의 영향으로 1인 독거노인 가구는 늘었지만 아이를 키우는 가구는 줄었습니다.
통계청은 오늘(29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등록센서스 방식)'를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전국의 주택 수는 1천987만 3천호로 전년 대비 32만 6천호(1.7%) 늘었습니다.
김서영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연평균 주택 증가율은 1995년 5.4%로 정점을 기록한 이후 둔화하고 있다"며 "최근 5년간 평균 증가율은 1.9%이고, 작년 주택 증가율은 전년도에 비해 0.4%포인트(p) 감소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전체 주택의 46.7%(929만 호)는 수도권에 몰려 있었습니다.
서울(0.5%)이 전국에서 전년대비 증가율이 가장 낮았습니다.
이는 통계청이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60년 이후 6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서울의 주택 증가율은 2020년 2.1% 이후 2021년 1.8%, 2022년 1.4%, 2023년 1.4% 등 내리막을 걷고 있습니다.
통계청 관계자는 "2021년 이후 서울의 준공실적이 계속 감소한 결과"라고 해석했습니다.
주택 공급 부족은 서울 집값 상승 요인 중 하나로 분석됩니다.
새 정부는 부동산 공급대책을 준비 중입니다.
주택 종류별 비율을 보면 아파트(65.3%), 단독주택(19.3%), 연립·다세대(14.3%) 등 순이었습니다.
아파트는 전년보다 2.7% 증가하며 가장 증가 폭이 컸습니다.
건축된 지 20년 이상된 주택은 전체의 54.9%였고, 30년 이상 된 주택은 28.0%로 집계됐습니다.
주택당 평균 거주인수는 2.6명으로, 5년 전과 비교하면 0.3명 줄었습니다.
미거주 주택(빈집)은 전년보다 4.2% 늘어난 159만 9천호였습니다.
전체 주택 중 빈집 비율은 8.0%로 전년보다 0.2%p 늘었습니다.
반지하·지하가 있는 주택은 26만 1천호, 옥탑이 있는 주택은 3만 4천호로 집계됐습니다.
각각 총 주택의 1.3%·0.2%를 차지했습니다.
반지하·지하에 거주하는 가구는 39만 8천가구(1.8%)였고, 옥탑에 거주하는 가구는 3만 6천 가구(0.2%)였습니다.
지난해 1인 가구는 804만 5천 가구였습니다.
1인 가구 비중은 36.1%로, 전년보다 0.6%p 늘어 또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다만 1인 가구의 전년대비 증가율은 2.8%로 2023년(4.4%)보다 1.6%p 낮아졌습니다.
통계청은 "1인 가구 비중이 높은 20대와 30대 인구가 각각 감소, 둔화한 영향"이라고 분석했습니다.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39.9%)이었습니다.
연령별로 20대 이하(17.8%)와 60대(17.6%)에서 비중이 컸습니다.
전년 대비 증가율이 높은 연령대는 70대로, 7.1% 증가했습니다.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 수는 올해도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고령자만 있는 가구는 400만 7천 가구로 전년보다 7.0% 늘었습니다.
고령자 혼자만 사는 1인 가구, 즉 독거노인 가구는 228만 9천 가구로 역시 전년보다 7.0% 증가했습니다.
고령자 1인 가구의 비율은 특별·광역시의 경우 부산(12.7%)이, 도지역에서는 전남(16.1%)이 각각 가장 높았습니다.
2019년과 비교해 보면 고령자만 있는 가구는 47.3%, 고령자 1인 가구는 49.3% 각각 늘었습니다.
성별로 보면 남자는 30대(21.8%)에서, 여자는 60대(18.7%)에서 혼자 사는 이들이 많았습니다.
반면 18세 이하 자녀가 있는 가구는 451만 7천가구(20.3%)로 전년보다 1.6% 줄었습니다.
5세 이하 자녀가 있는 가구는 128만 4천가구(5.8%)로, 역시 전년보다 5.3% 감소했습니다.
한부모가구는 149만 1천 가구(6.7%)로 1년 전보다 0.1% 줄었습니다.
다문화 가구는 전년보다 5.7% 늘어난 43만 9천 가구였습니다.
유형별로 보면 귀화자 가구(42.6%), 결혼이민자 가구(35.2%), 다문화자녀 가구(11.3%) 순이었습니다.
다문화 가구가 많은 시도는 경기(31.1%), 서울(17.8%) 등지였다. 세종(0.5%)이 전국에서 가장 낮았습니다.
장애인(내국인) 인구는 260만7천 명, 내국인 중 장애인 비율은 5.2%였습니다.
장애인이 있는 가구는 전체 가구의 10.3%인 228만7천 가구로 분석됐습니다.
[ 구민정 기자 / koo.minjung@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