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혼자만 레벨업’
넷마블네오 상장 계획에는
“
넷마블에 기여하는 바 명확해야 원칙적으로 검토”
 |
31일 서울 구로구 넷마블 사옥 지타워에서 열린 넷마블 제14기 정기주주총회 모습 [사진 = 넷마블] |
넷마블이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김병규 단독 대표 체제로의 전환을 공식화했다.
넷마블은 31일 서울 구로구
넷마블 사옥에서 제14기 정기 주주총회를 개최하고 재무제표 승인, 이사 및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 등 6건의 의안을 가결했다.
김 대표와 함께
넷마블을 이끌던 권영식 각자대표의 사임에 따라
넷마블은 김병규 단독 대표 체제로 전환했다.
사내이사 자리에는 도기욱
넷마블 최고재무책임자(CFO)가 새롭게 선임됐다.
본사 대표에서 물러난 권영식 대표는
넷마블의 자회사인
넷마블네오의 대표직은 유지한다.
또한 신설된 ‘경영전략위원회’에 주요 의사결정자로 참여해
넷마블 게임 사업 전략에 기여할 예정이다.
또한
넷마블은 리나촨 텐센트게임즈 사업개발 총괄을 기타비상무이사로 신규 선임했다.
임기가 만료됐던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은 사외의사 겸 감사의원으로 재선임하고 강이 LNK세무회계 대표를 사외이사 겸 감사위원으로 새롭게 선임했다.
김 대표는 이날 인사말을 통해 “올해는
넷마블이 재도약을 이루는 중요한 변곡점의 시기”라며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 ‘일곱 개의 대죄: 오리진n’ 등 총 9종의 신작 출시를 통해 지속 가능한 수익 창출 기반을 마련하고 아울러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한층 더 견고히 다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주주총회에서는
넷마블의 핵심 개발사 중 한 곳인
넷마블네오의 기업공개(IPO) 계획에 대한 질의도 이어졌다.
넷마블네오는 지난해
넷마블의 성장을 이끈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를 제작한 개발사다.
2021년 IPO 계획을 한 차례 철회했으나 지난해 해당 게임의 성공에 힘입어 지난해 상장 절차를 시작한 것으로 파악된다.
넷마블네오 상장이 중복 상장에 해당된다는 지적에 대해 김 대표는 “
넷마블네오가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살아남을 정도의 경쟁력이 필요하고,
넷마블에 기여하는 바가 명확해야 원칙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
넷마블네오 상장이 권영식 대표의 지분 때문 아니냐는 지적이 있지만,
넷마블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라며 ”특정 임직원의 이익을 위해 주주 이익을 외면하고 상장 결정을 추진하긴 어렵다“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