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은행들이 그동안 걸어잠궜던 대출 빗장을 조금씩 풀고 있습니다.
새해가 밝으면서 가계대출 관리 압박에서 자유로워 졌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실수요자 중심의 총량 관리 기조는 유지한다는 방침입니다.
김우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국내 은행들이 그동안 중단했던 비대면 대출 창구를 다시 가동하고 있습니다.
하나은행은 지난 2일부터 비대면 신용대출 상품 판매를 재개했고,
신한과 농협은행 역시 연초부터 비대면 대출을 취급하고 있습니다.
우리은행은 당국과 올해 가계대출운영 계획을 논의한 후 비대면 대출 재개를 검토한다는 방침입니다.
한도 규제 역시 완화하고 있습니다.
신한은행은 신용대출 한도의 소득대비 한도율을 아예 해제했습니다.
국민은행은 임차보증금 증액 범위 내로 제한한 전세대출 한도를 해제했습니다.
이외에 5대은행은 일괄적으로 모기지보험 상품 제한을 해제합니다.
모기지보험이란 투기지역과 투기과열지구를 제외한 지역의 주택 매입을 위한 대출시 가입하는 보험입니다.
해당 보험이 없으면 임차보증금을 뺀 금액만 대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출 한도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새해가 밝으면서 은행권은 대출 관리 압박에서 자유로워졌습니다.
새 회계연도 시작으로 새로운 대출 총량 한도가 부여됐기 때문입니다.
다만 다주택자에 대한 대출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보수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보유한 주택을 매도해야 하거나 수도권 소재 주택 취급을 제한하는 방식입니다.
주담대 최장 기간 역시 대체로 기존의 30년을 유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주담대 기간이 길어질 경우 원리금 부담이 줄어 대출한도가 늘어나게 됩니다.
전문가들은 GDP 대비 가계대출 비중이 여전히 높다며 대출 관리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 인터뷰(☎) : 김상봉 / 한성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가계 부채가 빠른 속도로 늘어온 게 사실이고요. GDP 대비로도 가계대출 비중이 상당히 높은 편이에요. 전세 대출과 담보 대출 2개를 합쳐서 일정 비중 이하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해야 될 것 같아요."
이복현 금감원장은 올해 실수요자들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한편, 가계대출 중가추이를 GDP 성장률 이내로 관리하겠다고 지난달 밝혔습니다.
매일경제TV 김우연입니다.
[ kim.wooyeon@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