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부총리 "내년 성장률 2.2%…우리보다 잘나가는 국가 별로 없어"

[사진=연합뉴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현지시간으로 13일 "주요 국가의 내년도 성장률 전망치를 보면 우리보다 잘 나가는 국가는 별로 없다"라고 말했습니다.

추 부총리는 모로코 마라케시의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장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내년도 성장 전망치가 2%대 초반인 것인데, 웬만한 경제 규모의 국가 중에서는 2%대 초반은 우리나라가 유일하다"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주 IMF가 내년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2.4→2.2%)를 하향 조정한 것에 대한 반박으로 풀이됩니다.

추 부총리는 "한국 경제성장률이 올해 1.4%에서 내년 2.2%로 0.8%포인트 오른다는 것"이라며 "(이번 하향조정으로) 리바운드 크기 정도를 조금 낮춘 것이지만 다른 나라에 비해서는 굉장히 이례적으로 리바운드를 높게 본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일본 성장률도 거론하면서 "금년에는 한국이 20여년 만에 역전당했다는 지적도 받아들인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숫자의 흐름을 보면 지난해 일본(1.0%)은 한국(2.6%)보다 한참 낮은 성장을 했고, 올해 조금 높은 성장(2.0%)을 했는데 내년엔 다시 1.0%로 떨어진다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추 부총리는 "우리나라 성장률이 내년에 2.2%로 나오려면 계속 경기가 우상향으로 가야 한다"며 "IMF가 왜 한국을 긍정적으로 봤을까를 생각해보면 내년에 반도체 경기가 전반적으로 좋아지면서 한국이 본격적으로 수혜를 받는다는 뜻"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또한 "반도체 업황은 회복 국면에 진입했고, 물가도 선진국이 5~6%인데 한국은 2~3%로 중동문제 등 아직 불확실성이 있지만 회복 국면에 진입하기 시작한 것 같다"고 진단했습니다.

한국경제의 반도체 의존도에 대한 지적에는 "반도체 의존 맞다. 반도체는 산업의 쌀이고 생명수 같은 것이라 우리 반도체가 선전하고 있다는 것은 정말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사실 반도체뿐만 아니라 배터리, 자동차, 조선, 원전, 방산까지 경쟁력 있는 기업이 많고 K컬처, K콘텐츠, K푸드까지 포트폴리오가 꽤 다양한 편"이라며 "올해 반도체 경기가 안 좋더라도 우리 경제가 다른 선진국에 비해 선방하고 있는 것은 그 덕분"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연차총회에서 거론되는 세계경제 위험 요인으로는 '인플레이션'을 꼽았습니다.

추 부총리는 "물가 안정을 굉장히 중점적으로 얘기하고 있고 이는 고금리와도 맞물려 있는 것"이라며 "다행스러운 것은 고금리가 대체로 천장을 확인하고 있는 수준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물가안정은 모든 민생의, 성장의 첫 출발"이라며 통화·재정 정책의 긴축 기조를 이어가야 한다는 게 대체적인 분위기라고 전했습니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과 관련해선 "사태 전개에 관해 누구도 확실한 정보나 확신이 없는, 굉장히 불확실성 속에 있는 것 같다"며 "다만 불확실성 요인이 하나 추가된 건 분명하고, 정부도 상당히 긴장하면서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 구민정 기자 / koo.minjung@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