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금융당국이 은행업계의 채권 발행 한도를 폐지했습니다.
만기가 돌아오는 뭉칫돈 재유치 경쟁에서 수신금리가 지나치게 오르는 것을 막기 위함인데요.
김우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금융위원회는 이번 4분기부터 은행채 발행 한도 제한 조치를 폐지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은행업계의 지나친 수신 금리 경쟁을 방지하기 위한 행보로 분석됩니다.

지난해 레고랜드 사태의 여파로 채권시장 불안이 심화되자, 우량채권인 국고채와 은행채로 자금이 쏠리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이 때문에 금융당국은 지난해 말 은행들의 채권발행을 사실상 중단시켰습니다.

은행들은 건전성과 대손충당금 확보를 위해 5%대의 높은 예금금리를 앞세워 수신확보에 나섰습니다.

문제는 지난해 공격적으로 확보했던 뭉치 예금의 만기가 곧 도래한다는 점입니다.

은행업계에 따르면 올해 4분기에 만기가 돌아오는 예금 규모는 약 100조원으로 추산됩니다.

자금 이탈을 막기위해 은행들이 1년전과 같이 수신금리를 높인다면,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당국은 대규모 예금 만기 도래에 맞춰 은행업계의 채권 발행을 다시 재개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은행업계 역시 고금리의 수신경쟁보다는 은행채 발행으로 인한 자금 조달이 더 저렴하고 안정적이라는 입장입니다.

전문가들은 현재 기업들의 자금 확보를 위해서라도 채권 발행 한도 폐지는 필요하다고 진단했습니다.


▶ 인터뷰(☎) : 성태윤 /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채권시장의 경우에는 신용도가 상당히 높은 금융기관들이나 기업들이 발행을 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곳들은 주로 금융기관, 은행으로부터의 대출에 의존하기 때문에 금융기관 자체가 자금 조달에 어려움이 생기는 경우 이후에 기업과 일부 금융기관들의 자금 조달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서 (금융당국이) 이러한 부분을 고려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현재 우량채 수요가 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채권 발행이 재개되어도 대출금리는 당분간 오름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 연준의 긴축기조 장기화 예고와 이번 은행채 발행 재개가 맞물릴 경우, 은행업계의 조달금리 상승압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채권 발행 재개로 자금 확보에 숨통이 트인 은행들이 높아진 대출 금리를 연착륙 시킬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매일경제TV 김우연입니다.

[ 김우연 기자 / kim.wooyeon@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