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제공 |
가계의 이자 지출이 금리 인상기를 맞은 2년간 절반 넘게 증가하면서, 소득 대비 이자 부담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전세로 사는 가구의 이자 부담이 가장 컸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2분기 가계가 이자 비용으로 지출한 금액은 월평균 13만1천 원이었습니다.
이는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6년 이후 전 분기 통틀어 가장 많은 금액입니다.
평균 소득(479만3천원)에서 차지하는 비중(2.7%)도 전 분기 통틀어 역대 최대였습니다.
가계 소득은 작년 2분기 코로나19로부터의 일상 회복, 소상공인 손실 보전금 지급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기준 역대 최대 폭인 12.7% 증가했다가 지난 2분기에는 기저효과 등으로 0.8% 감소했습니다.
반면, 이자 지출은 작년 2분기 7.1%, 지난 2분기에는 42.4% 각각 급증했습니다.
지난 2분기 이자 지출 증가율은 1분기(42.8%)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금리 인상 영향으로 풀이되며, 기준금리는 2021년 8월 0.5%에서 0.75%로 0.25%포인트(p) 인상하는 것을 시작으로 현재 3.5%까지 올랐습니다.
기준금리가 3%포인트 오른 2년간 가계의 이자 지출은 2021년 2분기 월평균 8만6천 원에서 13만1천 원으로 52% 급증했습니다.
소득이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동안 이자 지출은 가파르게 늘면서 소득 대비 이자 부담도 커지는 양상입니다.
전체 가구 중 이자를 지출하는 가구 비율은 지난 2분기 기준 39.9%였습니다.
고금리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 데 따라 가계의 이자 부담은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당분간 긴축 기조를 이어간다고 밝히면서 국고채 금리 등 국내 시장금리는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윤형섭 기자 / yhs931@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