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엔데믹으로 내수경기 회복이 기대된 상황에서도 자영업자들의 올 상반기 매출이 줄고 하반기 전망도 밝지 않다는 관측이 나왔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이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음식점업, 숙박업, 도소매업 등에 종사하는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2023년 상반기 실적 및 하반기 전망을 설문한 결과, 올 상반기 매출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감소했다는 답변이 63.4%였다고 오늘(2일) 밝혔다.

응답자들의 상반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평균 9.8% 줄었고, 순익은 9.9%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하반기 매출이 상반기보다 감소할 것이라는 답변은 전체의 50.8%,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은 49.2%로, 절반가량은 하반기 전망 역시 어둡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가장 부담이 큰 경영비용 증가 항목은 ▲원자재·재료비(20.9%) ▲인건비(20.0%)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18.2%) ▲임차료(14.2%) 순으로 꼽혔습니다.

조사에 응한 자영업자들의 대출 규모는 ▲1억 원 미만이 75.4% ▲1억5천만 원 이상이 13.4%였으며 평균 대출액은 8천300만 원 수준이었습니다.

이 중 51.2%는 올해 초와 비교해 대출금액이 증가했고, 48.8%는 감소했다고 답했으며, 평균으로는 0.1% 증가해 변동 폭은 작은 수준이었습니다.

대출 증가 요인은 ▲임차료, 인건비, 공공요금 등 고정비 지출(46.9%) ▲기존 대출이자 상환(25.0%) ▲원자재·재료비 지출(15.2%) 등이었습니다.

반면 감소 이유로는 ▲금리 상승 우려로 기존 대출 축소(40.6%) ▲매출 및 수익성 개선으로 인한 기존 대출 상환(20.9%) ▲대출한도 문제로 인한 추가 대출 불가(17.2%) 등이 꼽혔습니다.

경기 회복 시기는 응답자 중 84.4%가 내년 이후로 내다봤고, 올 하반기로 전망한 비율은 12.8%에 그쳤습니다.

올해 경영상 주된 애로사항은 ▲임차료 상승 및 각종 수수료·세금 부담(21.1%) ▲수입물가 상승에 따른 원재료 매입비 부담(17.2%) ▲고금리 지속·만기도래 등 대출 상환 부담(16.7%)을 꼽은 이들이 많았습니다.

자영업자들은 정부에 ▲전기·가스요금 등 공공요금 인상 억제 또는 인하(19.0%) ▲저금리 대출 등 자금지원 확대(18.5%) ▲소비심리 회복을 위한 소비 촉진 지원(16.6%) 등 지원 정책을 요구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어두운 경기 전망 속에 다른 대안이 없거나 대출금, 임차료 등 부담으로 자영업자들이 폐업을 고려하기도 힘든 상황"이라며 "내수 활성화 촉진 등 자영업자의 부담을 덜어줄 정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 김우연 기자 / kim.wooyeon@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