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국적항공사 여객 수가 5천만명을 웃돌며 코로나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상반기의 84% 수준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 항공사(FSC)는 아직 코로나 전보다 승객이 적었으나, 저비용항공사(LCC)는 단거리 여행 인기에 힘입어 4년 전 수준을 웃도는 실적을 내기도 했습니다.
오늘(2일) 국토교통부 항공 통계에 따르면 올해 1∼6월 국적사를 이용한 국내선·국제선 여객 수는 5천339만 7천562명으로 집계됐습니다.
2019년 같은 기간(6천362만 9천195명)의 83.9%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가운데 국내선 여객 수는 전체의 61.4%에 해당하는 3천279만명으로 2019년 상반기(3천238만명)에 비해 1.2% 웃돌았습니다.
한편 국제선 여객 수는 2천61만명(38.6%)으로 2019년 상반기(3천124만명)의 66% 수준이었다.
국적사 항공 여객 수는 상반기 기준 2018년과 2019년 2년 연속 6천만명을 상회했지만, 코로나로 인해 2020년 3천17만명으로 전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집계된 바 있습니다.
이후 ▲2021년 3천192만명 ▲2022년 3천945만명으로 서서히 증가하다가 엔데믹을 맞은 올해 5천만명을 넘겼습니다.
국제선 여객 수가 작년 상반기(232만명)의 9배 가까이 폭증한 데 따른 것입니다.
항공사별로 보면 올해 상반기 대형 항공사는 LCC들보다 상대적으로 더딘 여객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대형 항공사들이 주로 운항하는 해외 중장거리 노선 수요는 느리게 회복됐지만, LCC가 운항하는 일본·동남아 등 단거리 여객 수요는 폭발적으로 늘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됩니다.
올해 상반기
대한항공 여객 수는 1천228만명으로 2019년 상반기 대비 69.8% 수준을 기록했으며
아시아나항공은 900만명이 이용해 68%의 회복률을 나타냈습니다.
반면 LCC의 경우 올해 상반기 여객수는 지난 2019년 같은기간 대비 ▲
티웨이항공 728만명 (30%증가) ▲
진에어 634만명 (14% 증가) ▲
제주항공 846만명 (94.2% 증가) ▲
에어부산은 579만명(92.3% 증가)으로 집계됐습니다.
[ 김우연 기자 / kim.wooyeon@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