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월간 무역수지가 16개월 만에 흑자로 돌아섰습니다.
수출은 9개월째 줄었지만 감소율은 연중 최저 수준까지 내려가 하반기 수출 반등 전환 기대감도 커졌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6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습니다
6월 무역수지는 11억 3천만 달러 흑자를 나타냈는데, 월간 무역수지 흑자가 난 것은 지난해 2월 이후 16개월 만입니다.
이로써 1995년 1월∼1997년 5월 29개월 연속 무역적자 이후 27년 만에 가장 긴 연속 적자행진을 마감했습니다.
월간 무역적자는 지난 1월 125억 1천만 달러로 정점을 찍은 뒤 2월 52억 7천만 달러, 3월 46억 2천만 달러, 4월 27억 2천만 달러, 5월 21억 달러로 점차 줄어들다가 이번에 흑자로 돌아섰습니다.
그러나 1∼5월 연속 적자로 올해 상반기 누적 무역적자는 262억 1천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6월 수출액은 542억 4천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6.0%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우리나라 전체 수출에 큰 영향을 끼치는 반도체 업황의 회복 지연, 작년 6월 수출액이 역대 6월 기준 최고 실적(577억 달러)을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 등이 수출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월간 수출은 지난 10월부터 9개월 연속으로 전년 동월 대비 줄어 2018년 12월∼2020년 1월 이후 가장 긴 연속 수출 감소를 이어갔습니다.
다만 6월 수출 감소율은 연중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
품목별로는 자동차(58.3%), 일반기계(8.1%), 선박(98.6%), 이차전지(16.3%) 등 품목 수출이 증가한 반면, 반도체(-28.0%), 석유제품(-40.9%)·석유화학(-22.0%) 등 품목 수출은 단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줄었습니다.
단일 품목 최대 수출품인 반도체의 수출 증가율은 11개월째 마이너스권에 머물렀지만 6월 수출액은 89억달러로 올해 월 최대 규모를 나타냈습니다.
산업부는 우리나라의 수출 부진과 무역 적자의 주된 요인 중 하나인 대 중국 수출이 다소 개선될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대중 수출은 5월 106억 달러에 이어 6월 105억 달러를 기록하는 등 2개월 연속으로 100억 달러를 넘겼고, 6월 대중 수출 감소율도 19.0%로 전달의 21.1%보다는 소폭 낮아졌습니다.
6월 수입액은 원유(-28.6%), 가스(-0.3%), 석탄(-45.5%) 등 에너지(-27.3%) 수입 감소의 영향 속에서 531억1달러로 작년 동월보다 11.7% 감소했습니다.
산업부는 "6월 무역 흑자 전환은 대통령 이하 관계 부처와 수출 기업 모두의 노력에 힘입은 결과"라며 "정부는 이번 흑자 흐름을 이어 나가며 하반기 수출 플러스 전환을 달성할 수 있도록 수출 확대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습니다.
[ 이정호 기자 / lee.jeongho@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