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뉴스 제공 |
5대 주요 시중은행에서 올해 들어 5개월 동안 기업 대출이 32조 원 넘게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같은 기간 가계대출이 약 8조 원 줄어든 것과 대조적으로, 특히 코로나19 오미크론 확산과 원자재 가격 상승에 어려움을 겪은 소상공인 등 중소기업 대출이 증가분의 77%를 차지했습니다.
금리가 계속 오르는 가운데 만약 오는 9월 대출 원금 만기 연장이나 이자 상환 유예 등의 금융지원까지 종료되면, 올해 4분기부터 본격적으로 기업 대출 부실이 현실로 드러나면서 금융·경제를 위협하는 주요 뇌관이 될 전망입니다.
오늘(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시중은행의 5월 말 기준 기업 대출 잔액은 668조629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작년 12월 말(635조8천879억원)과 비교해 올해 들어 5개월 사이 32조1천750억 원 늘었습니다.
증가폭이 거리두기 등 코로나19 관련 방역 조치가 엄격했던 지난해 같은 기간(1∼5월·24조4천203억 원)보다도 오히려 7조7천547억 원 커졌습니다.
기업 대출 증가액(32조1천750억 원) 가운데 약 77%(24조6천168억 원)는 중소기업(소상공인 포함) 대출이었습니다.
이처럼 기업 대출이 30조 원 넘게 불어나는 동안 가계대출은 7조9천914 억원 감소(709조529억원→701조615억원)했습니다.
최근 주춤한 가계대출과 달리 기업 대출이 급증하는 추세는 한국은행 통계에서도 확인됐습니다.
4월 말 기준 기업의 예금은행 원화 대출 잔액은 1천106조 원으로 한 달 새 12조1천억 원 또 불어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증가 폭(12조1천억 원)은 4월 기준으로 2009년 6월 통계가 시작된 이후 두 번째로 컸습니다.
중소기업 대출이 7조8천억 원, 대기업 대출도 4조4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중소기업 가운데 개인사업자 대출 증가액만 2조6천억 원에 달했습니다.
'1분기 중 예금취급기관 산업별대출금' 통계에서 3월 말 기준 모든 산업 대출금(1천644조7천억 원)도 작년 4분기보다 63조9천억 원 늘었다.
이 증가 폭은 2020년 2분기(69조1천억 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 규모입니다.
한은 관계자는 "은행의 기업 대출 취급 노력도 맞물려 기업 대출 증가 규모가 상당 폭 확대됐다"고 밝혔습니다.
[ 윤형섭 기자 / yhs931@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