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으로 전면 봉쇄됐던 중국의 '경제수도' 상하이가 1일부터 정상 회복 도모에 나섰습니다.

상하이시는 1일 오전 0시(현지시간)를 기해 도시 봉쇄를 해제했습니다.

지난 3월 28일 봉쇄 시작 후 65일 만입니다.

고위험·중위험 구역으로 지정된 곳을 뺀 일반 지역 시민은 자유롭게 주거 단지 밖에서 활동할 수 있고, 자동차와 오토바이 등의 통행 제한도 없어졌습니다.

버스·전철 등 대중교통 운영도 평소 수준에 가깝게 회복됐고, 택시와 공유차량 영업도 재개됐다.

또 이날부터 기업과 자영업자들이 원칙적으로 사무실, 공장, 상점 등을 다시 운영하는 등 정상적인 경제 활동을 할 수 있게 됐습니다.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남긴 고강도 봉쇄 끝에 상하이의 코로나19 확산세는 확연히 꺾였습니다.

4월 절정 때 2만7천여명까지 치솟은 하루 신규 감염자는 지난달 30일 29명까지 떨어졌습니다.

인구 2천500만명의 초거대 도시인 상하이 경제가 완전히 멈춰서면서 중국 경제에 커다란 충격이 가해졌습니다.

3월 이후 상하이처럼 대규모는 아니었어도 수도 베이징과 기술 허브인 선전 등 중국의 핵심 대도시를 포함한 수십개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퍼져 전면·부분 봉쇄가 잇따랐고 이는 중국 경제에 지속적인 충격을 가했습니다.

4월 중국의 소매판매와 산업생산 증가율은 각각 -11.1%, -2.9%를 기록해 중국이 극도의 혼란에 휩싸인 2020년 우한 사태 초기 이후 최악의 수준이었습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봉쇄의 충격으로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이 정부가 연초에 정한 5.5%는커녕 우한 사태 충격으로 문화대혁명이 끝난 1976년 이후 최악이던 2020년의 2.3%에도 미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습니다.

상하이 봉쇄 사태는 시진핑 국가주석을 포함한 중국 공산당 지도부에도 큰 정치적 타격을 줬습니다.

중국이 안팎에 자랑하던 만리장성식 방역 체계가 붕괴해 상하이에서만 60만여명이 감염되는 사태 속에서, 많은 중국인이 '제로 코로나' 정책에 의문과 불만을 품기 시작했고 이는 당과 정부에 대한 불신 풍조로 이어졌습니다.

특히 상하이에서는 봉쇄 기간 식료품 대란 등 민생 위기가 심각해지면서 시민들의 집단 항의가 여러 차례 벌어지는 등 당국을 향한 불만이 크게 고조됐습니다.

코로나 봉쇄 사태가 일단락됐지만 상하이는 이제 마비되다시피 한 경제·사회를 정상화해야 하는 도전에 직면했습니다.

리창 상하이 당서기는 지난달 30일 경제 정상화 추진 회의에서 "파격적 사고와 행동으로 잃어버린 시간을 되찾고 코로나로 초래된 손실을 만회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완전히 마비되다시피 한 상하이의 도시 기능은 점진적으로 회복될 전망입니다.

쭝밍 상하이 부시장은 봉쇄 해제 계획을 설명하는 기자회견에서 일반 상점들의 영업이 1일부터 '점진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1일 모든 상점이 문을 열 수 있는 게 아니라 향후 시간을 두고 문을 여는 상업 시설들이 점차 늘어날 것임을 시사하고 있어 관련해 업계의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 길금희 기자 / golde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