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1인 가구의 소비 지출 가운데 주거 관련 비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른 가구 대비 주거비 부담이 큰 만큼 이들을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오늘(1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 1분기 가구원이 1명인 가구가 주거·수도·광열에 지출한 금액은 월평균 30만원이었습니다.

이는 전체 소비 지출액(146만7천원) 가운데 20.5%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

1년 전보다 8.2% 늘어나며 식료품·비주류음료, 주류·담배, 의류·신발 등 12개 소비 지출 품목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주거·수도·광열은 실제주거비, 주택 유지 및 수선, 상하수도 및 폐기물처리, 연료비 등을 합한 품목입니다.

반면 가구원이 2인 이상인 다인 가구가 주거·수도·광열로 지출한 금액은 월평균 37만원으로 전체 소비 지출 가운데 12.2%를 차지했습니다.

1인 가구의 주거 관련 지출은 2인 이상 가구보다 적지만 지출 비중으로는 더 컸습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로 보면 1인 가구의 주거 관련 지출 비중은 13.9%, 2인 가구는 7.9%였습니다.

주거 관련 비용은 필수 소비로 꼽히는 만큼 소득이 적은 1인 가구의 주거비 지출 비중이 더 크다는 분석입니다.

안현찬 서울연구원 연구위원은 "주거비는 필수로 나가야 하는 품목인데 1인 가구의 소득이 다인 가구보다 적다 보니 주거비가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 길금희 기자 / golde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