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년간 보험 사기 적발액이 4조원을 넘었지만 환수율은 10%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기간 보험 사기로 적발된 인원만 45만여명이었으며 국내 최대 손해보험사인
삼성화재는 1조여원의 보험 사기 피해를 봤습니다.
오늘(1일)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보험 사기로 적발된 인원은 45만1천707명이며 액수는 총 4조2천513억원에 달했습니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지난 5년간 보험사기 인원은 손해보험이 40만8천705건으로 생명보험(4만3천2명)을 압도했습니다.
보험 사기액 또한 손해보험이 3조8천931억원, 생명보험 3천583억원이었습니다.
이는 손해보험 상품이 자동차보험을 포함해 실손의료보험 등 고의 사고나 가짜 환자로 위장해 보험금을 타낼 수 있는 여지가 많기 때문입니다.
연도별 보험사기 적발 인원은 2017년 8만3천535명, 2018년 7만9천179명, 2019년 9만2천538명, 2020년 9만8천826명으로 매년 늘었다가 코로나19가
대유행한 2021년에는 9만7천629명으로 소폭 감소했습니다.
하지만 보험사기 적발액은 2017년 7천302억원에서 2018년 7천982억원, 2019년 8천809억원, 2020년 8천986억원, 2021년 9천434억원으로 매년 늘어 올해는 1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우려됩니다.
보험사별 지난 5년간 보험사기 적발 인원은 손해보험사 중에
삼성화재가 10만2천460명으로 가장 많았고
DB손해보험이 8만9천227명,
현대해상 8만7천116명을 기록하며 뒤를 이었습니다.
생명보험사는
삼성생명이 2만2천571명으로 최다였고 교보생명,
동양생명이 각각 2,3위를 차지했습니다.
문제는 적발된 보험사기액의 환수 실적이 매우 저조하다는 점입니다.
손해보험의 경우 지난 5년간 적발된 보험사기액 3조8천931억원 중 환수액은 1천267억원으로 환수율이 15.2%에 불과했습니다.
생명보험 또한 보험사기로 적발된 3천583억원 중 환수액은 319억원으로 환수율이 17%에 머물렀습니다.
금감원은 "보험금 환수는 최종 사법 조치 결과가 나온 후에야 환수가 되기에 종료 시점까지 많은 시간이 걸린다"면서 "이 기간에 지급된 보험금을 써버리는 경우가 많아 환수율이 저조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 길금희 기자 / golde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