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입원 치료를 받은 중증 환자들이 퇴원 후에도 여러 가지 신체적, 정신적 후유증에 시달린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전체 퇴원 환자의 7%, 중환자실 퇴원자의 10% 이상이 2개월 안에 사망했고, 재입원하는 환자도 15%에 달했습니다.
올해 봄부터 여름까지 미국 미시간주의 38개 병원에 입원했던 중증 코로나19 환자 1천250명의 퇴원 후 상황을 전화 인터뷰 등을 통해 조사한 결과입니다.
미시간 의대 연구진은 최근 이런 내용의 논문을 미국 내과학회지에 발표했습니다.
13일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사이트에 공개된 논문 개요에 따르면 전화로 인터뷰한 488명의 중증 퇴원 환자 중 약 39%가 두 달이 지나도록 정상적인 활동을 못 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응답자의 12%는 코로나19에 걸리기 전처럼 일상적인 기본 관리를 혼자서 해내기 어렵다고 했습니다.
또한 23%는 계단을 오를 때 호흡이 가쁘다고 했고, 3분의 1은 미각이나 후각 이상 같은 코로나19 증상이 사라지지 않았다고 호소했습니다.
건강 문제로 이전의 직장에 돌아가지 못한 환자가 40%에 달했고. 그중엔 완전히 실직한 경우도 일부 있었습니다.
원래 직장에 복귀한 사람 중에서도 26%는 건강 문제로 근무 시간이 줄었다고 답했습니다.
논문의 수석 저자인 할리 프레스콧 박사는 "코로나19로 입원 치료를 받은 환자의 회복을 더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촉진하는 프로그램을 시급히 개발해야 한다"라고 지적했습니다.
[ 권영하 인턴기자 / youngha@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