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조 바이든 당선인의 승리에 불복하는 가운데 미국 안보의 연속성을 위해 행정부가 바이든에게 정보 당국 브리핑을 제공해야 한다는 공화당 내 주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공화당도 트럼프 대통령의 법적 다툼을 옹호하며 아직 당선자가 결정되지 않았다는 입장이지만, 안보 태세에 구멍이 뚫리는 것을 막기 위해 바이든이 차기 대통령으로 최종 결론이 날 때를 대비해서라도 관련 정보는 주어져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법적 소송으로 인해 총무청(GSA)는 바이든 당선인에게 사무공간과 인력, 자금 등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국가정보국(DNI)도 바이든에게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것은 GSA가 선거를 인증하지 않은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공화당 상원 2인자인 존 튠 원내총무는 지난 12일 바이든 당선인이 기밀 브리핑을 받아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모든 긴급 사태에 대비하는 게 타당하다고 생각한다"며 "국가안보 관점, 연속성 차원에서 중요하다"고 답했다고 CNN이 보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 린지 그
레이엄 상원의원도 바이든의 브리핑 접근성에 대한 질문에 "그렇게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워싱턴포스트가전했습니다.
제임스 랭크포드 상원의원은 오클라호마주 털사의 지역언론인 KRMG 라디오에 출연해 GSA가 13일까지 바이든이 정보 브리핑을 받도록 선거를 인증하지 않으면 개입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NBC와 CNN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랭크포드는 2000년 대선 당시 짧은 인수 기간이 부족을 야기했다는 9·11 보고서를 거론하며 "선거 결과와 상관없이 실제 업무를 준비할 수 있게 어떤 식으로든 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부통령 당선인인 카멀라 해리스 상원의원 또한 상원 정보위 소속이어서 브리핑을 받을 적절한 기밀문서 취급인가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 권영하 인턴기자 / youngha@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