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늬만 제약사' 광동제약, R&D투자 업계 '꼴찌'…신약개발보다는 비타500·삼다수 '물장사'로 돈 벌었다

【 앵커멘트 】
모든 제약사의 본업이자 가장 큰 목표는 신약 개발이라고 할 수 있죠.
신약 개발에는 1조원이 넘는 천문학적 비용과 15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상용화에 성공할 확률도 0.02%로 극히 낮은데요.
상황이 이렇다보니 신약 개발은 뒷전에 두고 보다 쉽게 돈벌기에 급급한 제약사들이 있습니다.
제약업계에서는 대표적인 제약사로 광동제약이 꼽히는데요.
업계에서 매출액만 따지면 3위로 대형제약사로 볼 수 있지만 연구개발(R&D) 투자액은 매출액 기준 상위 10개사 중에서 '꼴찌'이기 때문입니다.

고진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비타500과 옥수수수염차, 삼다수 등 이름만 들으면 누구나 알 법한 음료들.

모두 음료 제조사가 아닌 제약사 광동제약의 제품입니다.

음료 사업은 광동제약 매출의 80%를 책임지고 있습니다.

특히 삼다수는 지난해 전체 매출의 40%에 육박했습니다.

광동제약은 국내 제약업계 '빅 5'에 들어가는 대형 제약사.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다트(DART)에 따르면, 광동제약의 올 상반기 매출은 6천233억 원으로 업계 매출 순위 3위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연구·개발(R&D) 투자액은 상위 10개 제약사 중 꼴찌를 기록했습니다.

광동제약의 상반기 R&D 투자액은 54억 원.

매출의 1%도 안 되는 비용을 R&D에 투자한 건데, 상위 10개 사의 R&D 평균 투자액인 485억 원의 10분의 1 수준인 셈입니다.

200억 원 가까이 투자한 중견 제약사 일양약품보령제약 등에도 크게 뒤쳐집니다.

이 같은 광동제약의 행보는 제약 업계 흐름과 정반대입니다.

올 상반기 신약 개발에 1천억 원이 넘게 투자한 한미약품을 필두로, 대부분 제약사들은 R&D 비중을 늘려가고 있습니다.

특히 유한양행대웅제약은 R&D 비용을 각각 16%와 9% 늘리며 공격적인 투자에 나섰습니다.

종근당과 GC녹십자를 포함한 대형 제약사들이 매출액의 10% 이상을 R&D에 쏟는 건 기업의 미래가 투자에 좌우되기 때문입니다.

▶ 인터뷰(☎) : 업계 관계자
- "의약품 개발에는 막대한 시간하고 비용, 그리고 인력이 투입이 되거든요. 일종의 제약 사업의 소임이라고 볼 수 있는데 그 대목에 소홀하다면 제약기업으로서의 생존, 나아가 발전하는 부분에 있어서 반드시 한계가 있을 겁니다."

광동제약이 올해 의약품 부문을 강화하겠다며 추진한 바이오 기업 '바이넥스'와의 사업 협력을 두고도 업계의 시선은 곱지 않습니다.

바이넥스는 의약품 위탁생산업체로, 광동제약의 투자 목적 자체가 신약 개발이 아니라 '바이오시밀러', 즉 복제약 생산과 유통에 중점이 맞춰졌다는 겁니다.

이같은 지적에 대해 광동제약 관계자는 "기존 사업 강화와 신사업 개발로 일반의약품 론칭 등 가시적인 성과를 내겠다"고 답변했습니다.

제약 주권의 확보를 위해 신약 개발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광동제약이 언제쯤 제약사로서의 정체성을 되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입니다.

매일경제TV 고진경입니다.

[ 고진경 기자 / jkkoh@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