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오피스텔 전매 제한에 청약 경쟁률 급감
상업시설 등 수익형 부동산에 발길 돌려…분양 열기 호조
여의도 상업시설 분양 당일 ‘완판’…수도권 내 신규 분양 관심↑
 |
유림아이앤디가 서울 강남구 논현동에서 선보이는 ‘펜트힐 캐스케이드’ 조감도 (사진=유림아이앤디 제공) |
[매일경제TV] 오피스텔 규제 여파로 상업시설이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정부는 지난 6월 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을 확대하고 이들 지역 내 신규 공급되는 100실 이상 오피스텔에 대해 분양권 전매 제한을 강화하는 내용의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사실상 수도권 전역을 규제지역으로 지정, 투기 수요 유입을 원천 차단하기 위한 고강도 규제책이라는 분석입니다.
부동산 시장에선 이미 오피스텔 청약 열기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감정원 청약홈에 따르면 모집공고일 기준, 올해 상반기 전국에 공급된 오피스텔 분양 물량은 32개 단지, 총 1만5천940실로 집계됐습니다. 접수된 청약은 30만4천849건으로 평균 경쟁률은 19.12대 1에 달했습니다.
반면 규제 발표 직후인 3분기에 공급된 6천850실(14개 단지)에는 5만1천747건의 청약이 접수돼 평균 경쟁률이 7.55대 1에 불과했습니다. 이는 규제 발표 이전보다 2배 이상 낮아진 것으로 규제지역 확대로 전매 제한이 적용되는 오피스텔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업계에선 오피스텔에서 빠져 나간 분양열기가 여타 수익형 부동산으로 유입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월별 건축물 거래현황’ 분석 결과를 보면 올해 6월 전국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량은 2만9천77건으로 이 중 오피스텔 거래량은 약 50.66%인 1만4천730건이었습니다.
하지만 9월 기준으로는 전체 2만7천87건 중 44.69%에 그친 1만2106건만 오피스텔 거래량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기간 오피스텔을 제외한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량 비중은 49.34%에서 55.31%로 약 6%p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수요 증가에 힘입어, 신규 분양에 나서는 상업시설들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최근 서울에서 분양한 ‘힐스에비뉴 여의도’ 근린생활시설은 39개 점포가 계약 당일 모두 완판돼 화제가 된 바 있습니다.
부동산 전문가는 “한국은행이 올해 3월 기준금리를 사상 처음으로 0%대로 하향 조정한 데 이어 2개월 만인 5월 추가 인하 조치를 강행함으로써, 은행 예적금 등에 몰려있던 풍부한 유동자금이 부동산으로 유입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주택시장 전반은 물론 오피스텔에도 규제가 적용돼 갈 곳 잃은 투자수요자들이 규제 영향이 덜한 상품으로 시선을 옮기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신규 분양에 나서는 상업시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유림아이앤디는 서울 강남구 논현동에서 ‘펜트힐 캐스케이드’ 를 분양 중입니다. 주거복합단지 ‘펜트힐 캐스케이드’의 지하 3층~지상 3층 규모로 조성됩니다. 단지 내 상업시설을 폭포 형태로 배치한 캐스케이드 설계가 국내 최초로 적용됐으며, 구매력 높은 강남 소비층을 겨냥해 층별로 고급 F&B·H&B·명품 편집샵·스포츠시설 등 다양한 업종을 유치할 예정입니다.
HDC아이앤콘스는 경기도 파주 운정신도시에서 ‘운정 아이파크 더 테라스 상업시설’ 을 분양 중입니다. 운정호수공원과 맞닿은 공세권 입지에 들어서며, 집객력이 우수한 1층 190m 길이 스트리트형으로 계획됐습니다.
대우건설은 경기도 시흥시 시화 MTV 내에 ‘시흥 웨이브파크 푸르지오 시티 상업시설’을 분양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규모, 아시아 최초 인공 서핑장인 ‘웨이브파크’가 바로 앞에 위치해 1년 내내 풍부한 소비층 확보가 가능할 전망입니다.
[ 손세준 기자 / mksseju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