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제(4일) 오후 열린 용산 IDC 개관식에서 KT를 비롯한 주요 관계자들이 오픈 커팅을 하고 있다. |
KT는 서울 용산구에 'KT DX IDC 용산'을 완공하고 본격 가동을 시작했다고 오늘(5일) 밝혔습니다.
용산 IDC는 인공지능·빅데이터·클라우드 이용이 늘면서 IDC(인터넷데이터센터)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KT의 13번째 IDC로 개관했습니다.
서울권 최대 규모의 데이터센터로 전체면적 4만8천㎡에 지상 7층과 지하 6층 규모를 갖췄고, 8개 서버실에서 10만 대 이상 대규모 서버 운영이 가능합니다.
10만 서버는 국립중앙도서관 3만 개의 데이터를 수용할 수 있는 용량입니다.
KT는 "용산 IDC는 'DX(디지털 혁신)'를 내세운 만큼 빠른 네트워크 속도를 갖췄다"며 "IDC 자체 네트워크를 통해 단일회선으로 100Gbps 속도를 제공하는 것은 용산 IDC가 국내 처음이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원 IDC(One-IDC) 구조로 테라급 데이터처리가 가능해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KT는 수도권에 위치한 KT의 용산·목동·강남·분당 IDC를 연결해 하나의 거대한 IDC 형태를 구성했습니다.
이에 따라 최대 네트워크 경로가 8개로 다원화돼 한 IDC에서 갑작스럽게 대용량 트래픽이 발생해도 차질 없이 데이터 서비스를 할 수 있게 됐습니다.
윤동식 KT 클라우드 전무는 "용산 ICT가 KT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의 변신에 중추적 역할을 해낼 것으로 기대한다"며 "차별화된 인프라와 솔루션을 통해 기업의 '최고 디지털혁신 파트너'가 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 신민호 인턴기자 / mino@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