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현지시간)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윌스트리스트 금융시장이 어떻게 반응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대선 결과에 따른 미국의 추가 경기부양 법안 전망이 월가의 반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4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습니다.

첫 번째 시나리오는 민주당이 백악관과 상·하원을 모두 싹쓸이하는 '블루웨이브'입니다.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후보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꺾고 소속 정당인 민주당이 하원에 이어 상원 다수당 지위까지 탈환한다면 경기부양을 위한 지출 규모가 커질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입니다.

이 경우 뉴욕증시는 경제성장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상승할 것이라고 NYT는 내다봤습니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바이든 후보의 대통령 당선과 공화당의 상원 수성이 꼽혔습니다.

월가의 통념으로는 워싱턴 정가의 교착 상태가 주식시장에 최선이지만,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경기침체로 상황이 달라졌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바이든 백악관'과 '공화당 상원'은 추가 경기부양에 희망을 걸고 있는 금융시장에 최악의 결과가 될 수 있다고 NYT는 진단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은 현 상황을 그대로 유지하는 시나리오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 경우에는 추가 부양을 둘러싼 현 대치 국면이 그대로 유지돼 근시일 내 대규모 경기부양 패키지가 집행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빠르게 사라질 것이라고 신문은 내다봤습니다.

선거 결과가 바로 확정되지 않고, 바이든 후보가 이기더라도 트럼프 대통령이 우편투표의 적법성 등을 문제 삼아 소송전에 나서 대법원 판결 전까지 혼돈이 지속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시나리오에서는 추가 경기부양이 지연되고 시장 불확실성이 커져 차기 대통령이 정해지기 전까지 주식시장이 힘든 시기를 겪을 수밖에 없다고 NYT는 전망했습니다.

CNBC방송의 유명 앵커 짐 크레이머는 누가 되든 주가가 당분간 떨어질 것으로 내다보면서 "여러분은 주식을 사야 한다"며 이때를 매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김예솔 인턴기자 / yesol@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