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 길 막힌 탓 근교 여행 늘어
수원·분당·안양 등 주요 상권 유입인구 줄어
 |
코로나19 1차 유행시기인 2월 주중 유동인구 감소폭이 컸던 경기도내 상위 10개 행정동 (이미지=경기도 제공) |
[수원=매일경제TV] 코로나19 영향으로 경기도에서 서울로 향하는 유동인구는 줄고 경기도 내에서 근교로 오가는 유동인구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연구원은 휴대전화 기반 케이티(KT) 빅데이터 자료를 바탕으로 올해 2~8월 유동인구 변화추이를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오늘(1일) 발표했습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경기도~서울시 유동인구는 지난 2월보다 수도권 집단감염이 확산한 8월에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2월 말 1차 유행 당시 감소폭(주중 -16.7%, 주말 -14.2%)보다 8월 2차 유행 때 더 급격한 수준(주중 -28.6%, 주말 -20.9%)으로 서울로 이동이 줄어든 것입니다.
대부분 경기도내 시군에서 서울로 향한 유동인구의 감소 폭이 주중보다 주말에 컸으나 이천, 안성, 여주는 주말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1차 유행 당시 도내 시군의 유동인구를 보면 성남(-1.6%), 과천(-0.6%)을 제외하고는 모든 시군에서 유동인구가 증가했습니다. 특히 양주(3.9%), 포천(4.2%), 여주(3.1%), 연천(8.1%), 가평(3.0%), 양평(6.9%)은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이는 코로나19로 해외여행 길이 막히고 원거리 이동을 자제하면서 인구가 적고 근거리 지역인 수도권 근교 여행지를 찾는 유동인구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연구원은 추정했습니다.
2차 유행 상황에서도 광주(2.6%), 양주(4.4%), 포천(3.8%), 연천(6.1%), 가평(9.5%), 양평(2.6%) 등은 유동인구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행정동별로는 수원역 중심상권(매산동), 분당 주요 상권(성남 야탑1동·서현1동·정자1동), 안양1번가(안양1동) 등은 유동인구가 많이 감소해 상권에 악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또 판교테크노밸리(성남 삼평동·시흥동)의 경우 정보통신기업을 중심으로 재택근무가 확대되면서 주중 유동인구가 감소했습니다.
김영롱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유동인구 빅데이터를 이용한 이번 연구는 코로나19로 나타나는 수도권 도시민의 일상생활 변화를 분석한 데 의의가 있다”며 “시기별, 지역별 편차를 보인 이번 분석 결과는 향후 감염병 대응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 등 빅데이터를 활용한 대도시권 계획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손세준 기자 / mksseju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