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 바이오기업 넥스모스(Nexmos)가 파킨슨병 치료제인 항산화 DNA 압타머 복합체 'NXP031'를 파킨슨병 동물 모델에 적용한 결과, 신경보호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NXP031'는 김연정 경희대학교 교수연구팀과 공동으로 개발됐으며, 이번 연구결과는 신경과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뉴로사이언스 레터스(Neuroscience Letters)에 10월16일 자로 게재됐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NXP031는 운동능력과 인지능력을 개선해 궁극적인 치료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파킨슨병은 뇌의 중뇌에 위치한 도파민(dopamine)을 생성하는 신경세포가 소실돼 발생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중 하나로, 떨림과 경직· 자세 불안· 보행 장애 등이 주요 증상입니다.
치매와 더불어 흔한 퇴행성 뇌 질환이지만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앞선 연구에 따르면, 도파민성 신경세포 퇴행의 주요 원인으로는 '유해 활성 산소로 인한 산화스트레스'가 꼽히고 있습니다.
산화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으로는 항산화제의 활용이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넥스모스는 "DNA 압타머를 이용, 항산화물과 결합해 산화를 줄이고 효능을 높이는 실험을 진행했으며, 항산화 물질이 체내에서 활성형으로 오래 머무르지 못하는 문제점을 DNA압타머 플랫폼 기술을 이용해 해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실험쥐에게 파킨슨병 유발 독성물질인 MPTP를 투여해 파킨슨병을 유도한 뒤 NXP031를 투여해 현저한 운동장애 개선 및 신경보호 효과,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를 줄여 뇌신경 염증을 억제하는 결과를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정훈 넥스모스 대표는 "이번 실험 결과로 파킨슨병 치료제로써 NXP031의 의약적 가능성을 강력하게 제시했으며, 압타머 기술을 이용한 신약개발 기술이 치료제가 없던 파킨슨과 치매 등 퇴행성 뇌신경 질환에 대한 또 다른 해결책이 될 수 있음을 증명했다"고 말했습니다.
넥스모스는 DNA 압타머를 통해 산화를 지연 또는 억제시킴으로써 항산화 물질의 안정성과 효능을 극대화시켜주는 원천물질인 압타민(Aptamin)을 세계 최초로 개발, 원천기술을 보유중입니다.
김 대표는 "난치병인 파킨슨병 치료제 개발을 함께할 파트너 물색과 함께 기술수출까지 계획하고 있다"며 "난치성 퇴행성 뇌경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압타머 플랫폼과 차별화된 다양한 파이프라인 구축과 연구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이명진 기자 / pridehot@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