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7월부터 3차 추가경정예산으로 추진해온 '청년 디지털 일자리' 등 일자리 사업의 민간 부문 채용이 목표치의 10% 수준에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용노동부가 오늘(28일) 대통령 직속 일자리 위원회에 보고한 '3차 추경 일자리 사업 추진 현황'에 따르면 3차 추경으로 시행 중인 전체 일자리 사업의 채용 인원은 이달 23일 기준 35만 4천 명으로, 목표치 57만 5천 명의 61.6%였습니다.

이 가운데 민간 부문의 채용 인원은 1만 8천 명으로, 목표치 16만 명의 11.3%에 그쳤습니다.

민간 부문 일자리 사업은 중소·중견기업이 청년이나 이직 근로자 등을 채용하면 정부가 최장 6개월 동안 인건비 등을 지원하는 것으로, 청년 디지털 일자리와 청년 일 경험 지원 사업을 포함합니다.

민간 부문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기로 한 기업이 정부에 제출한 채용 계획 인원은 9만 8천 명에 달하지만, 실제 채용으로 이어진 경우는 아직 적다는 게 노동부의 설명입니다.

노동부는 민간 부문 일자리 사업의 채용 실적이 저조한 데 대해 "기업의 수익성 악화와 실적 저하로 신규 프로젝트가 지연·축소되고 대면 업무가 감소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권영하 인턴기자 / youngha@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