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자사 매장을 보유한 펀드·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 측에 임대료 30∼50% 감액을 요구했습니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최근 부동산 리츠·펀드 운용사들에 공모 상품의 경우 기존 임대료의 30%, 사모 상품의 경우 50%를 삭감하겠다는 공문을 발송했습니다.
공모 상품은 개인투자자들이 많아 사회적 반발이 커질 것을 우려한 것으로 보입니다.
홈플러스는 지난 3월 4일 회생절차 개시 이후부터 지급 시기가 도래하는 임대료 지급을 미루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번 임대료 삭감 요구는 미납 이후 운용사들에 전달된 첫 번째 입장입니다.
홈플러스 점포를 기초자산으로 한 공모펀드는 이지스자산운용의 '이지스코어리테일부동산투자신탁126호'와 유경PSG자산운용의 '유경공모부동산투자신탁제3호' 등이 있습니다. 이지스운용은 사모펀드 2개도 운용하고 있습니다.
리츠는 신한리츠운용의 '신한서부티엔디리츠'와 '제이알제24호기업구조조정부동산투자회사', '케이비사당리테일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케이비평촌리테일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대한제2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 등이 있습니다.
신한서부티엔디리츠[404990]를 제외한 나머지 4개 상품은 주주 대부분이 기관투자자로 구성된 비상장 리츠입니다.
운용사들은 겉으론 내색하지 않지만 내부적으로 당혹스러워하고 있습니다. 임대료 협의가 난항을 거듭해 최악의 경우 폐점까지 갈 경우 사회적 비난의 화살이 자신들에게 돌아올 수 있어서입니다.
이들 펀드·리츠는 홈플러스 점포를 매입할 때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을 하고, 홈플러스가 내는 임대료를 수취해 이자로 납부해왔습니다.
한 운용사 관계자는 "펀드 입장에서는 사실 응하기 쉽지 않다"며 "특히 공모펀드는 이자 납부 재원이 없어지면 기한이익상실(EOD)이 불가피하다"고 말했습니다.
[ 이명진 기자 / pridehot@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