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동기 대비 DS 영업익 6조원 급감
美 대중국 수출 규제로 재고 평가손실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사옥.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4000억원에 그치며 부진한 실적을 이어갔다.

이는 2023년 4분기 2조원대 적자를 기록한 이후 최저치다.


삼성전자는 31일 연결 기준 2024년 2분기 매출이 74조5663억원, 영업이익은 4조6761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67%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55.23% 급감했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매출 27조9000억원, 영업이익 400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 2조9000억원에서 1분기 1조1000억원으로 반토막이 난 데 이어, 이번 분기에는 1조원 아래로 하락했다.

전년 동기(6조4500억원)와 비교하면 6조원 이상 줄어든 수치다.


메모리 사업부는 서버용 고부가가치 제품인 5세대 HBM3E, DDR5 등의 판매 호조로 21조2000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1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부문도 주요 거래선 확대에 힘입어 전 분기 대비 매출 성장을 이뤘다.


그러나 DS부문 전반의 수익성은 크게 악화했다.

미국의 대중국 수출 제재로 인해 재고가 쌓이며 평가손실이 발생했고, 파운드리 성숙공정 라인의 가동률 저하도 악영향을 미쳤다.


한편, 삼성전자는 최근 테슬라와 약 23조원 규모의 대규모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바탕으로 게이트올어라운드(GAA) 2나노 공정을 적용한 모바일 신제품 양산을 본격화하고, 주요 고객사 확보를 통해 가동률 및 수익성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