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소재·미래모빌리티·이차전지 산업 육성
1조 5000억 투자 유치, 1800명 고용창출 기대
한국카본·
엘앤에프 등 36개 기업 입주
 |
경남도 기회발전특구 추가 지정 브리핑./경남도/ |
경남도가 밀양·창녕·하동 3개 지역을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기회발전특구’로 추가 지정받아 첨단산업벨트 조성에 본격 나선다.
이번 지정으로 경남은 전국 최초로 도 단위 기회발전특구 지정 상한면적 660만㎡(200만 평)을 달성했다.
경남도는 밀양
나노융합국가산단, 창녕 대합·영남산단, 하동 대송산단 일원 총 221만㎡(67만1000평)이 특구로 확정됐다고 29일 밝혔다.
기회발전특구는 지방으로 이전하는 기업에 세제 감면, 규제 완화, 인프라 지원 등을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제도다.
도는 지난해 고성(이차전지), 통영·창원(수소·해양) 지역을 시작으로 이번 3차 지정을 통해 특구 총량(660만㎡)을 모두 채웠다.
이번에 지정된 밀양·창녕·하동 3개 특구에는
한국카본, 유림테크,
엘앤에프 등 앵커기업 6개사와 협력기업 30개사가 입주할 예정이다.
총 1조 5764억 원 규모의 투자와 1797명의 고용 창출이 기대된다.
지역별로는 밀양에
나노복합소재 및 수소부품 중심의 첨단소재·부품 지구, 창녕에 전기차·항공기 부품 중심의 미래모빌리티 지구, 하동에 이차전지 리사이클링과 수산화리튬 생산 중심의 소재 지구가 조성된다.
입주기업에 대한 혜택도 크다.
소득세·법인세 5년 100%, 추가 2년 50% 감면, 재산세 5년간 75% 감면, 취득세 50% 감면 등 다양한 세제 혜택이 주어진다.
최대 200억 원의 국비 보조금과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 비율도 최대 10%까지 가산된다.
경남도는 전력·가스·용수 등 기반시설 확충과 청년 주거,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발전특구 연계 등 전 주기적 기업지원 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다.
조현준 경남도 경제통상국장은 “첨단산업 중심의 특구 지정은 청년 인재 유입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지역 산업구조 고도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향후 특구 면적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도 지속 건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