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 계열사 통해 IMS모빌리티 투자
효성과 계열분리 과정에도 연관성 제기
HS
효성 “정치적 고려 전혀 없어”
조현상 부회장 21일 특검 출석 예정
 |
조현상 HS효성 부회장. (사진=연합뉴스) |
HS
효성이 분리 독립한 지 1년 만에 ‘오너 리스크’라는 최대 위기에 놓였다.
‘김건희 집사 게이트’를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조현상 HS
효성그룹 부회장을 소환할 예정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김건희 집사’로 불리는 김 모 씨가 임원으로 재직한 벤처기업 IMS모빌리티에 투자한 기업에 대한 조사에 돌입했다.
IMS모빌리티는 HS
효성을 포함한 국내 대기업과 금융투자사로부터 180억원 상당의 투자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검팀은 실체가 불분명한 벤처기업에 다수 기업의 자금이 흘러 들어간 배경에 정권 핵심 관계자가 연결될 가능성을 제기했다.
투자사에는 HS
효성 산하 모빌리티 계열사 4곳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기업은 2023년 오아시스에쿼티파트너스를 통해 35억원을 출자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 펀드를 통해 동시다발적으로 투자했으며 담당자가 모두 동일인으로 기재된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법인별 독립성을 고려하면 이례적인 상황이다.
또한 투자 당시 IMS모빌리티는 누적 손실금이 수백억원에 달하는 자본 잠식 상태로 알려졌다.
그러나 HS
효성은 자동차 관련 계열사를 통해 투자에 앞장섰다.
계열사 4곳 모두 조 부회장이 지분 80~100%를 보유한 개인회사 및 지배사 산하에 있다.
법적으로는 계열사지만 실제로는 단일 지배구조 하에 동일한 의사결정에 따라 움직였다고 분석할 수 있다.
이에 ‘조 부회장이 사실상 회사 자금을 동원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재계에서는 조 부회장의 경영 판단이 사업성이 아닌 정치적 고려에 기반했는지를 주목하고 있다.
총수급 인사가 실질적 관여한 정황이 드러나면 투자 손실뿐 아니라 형사적 배임이나 이해충돌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배임 혐의는 통상 실무진에 적용된다.
그러나 그룹 총수의 직접 관여나 지시에 따랐을 경우 수사와 처벌 수위는 규모가 커지게 된다.
특히 HS
효성은 신생그룹으로서 브랜드 가치와 기업 신뢰도에 막대한 타격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아울러 이 투자는 지난해 7월 이뤄진
효성그룹과의 계열분리 과정과도 연관됐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당시 정관변경을 위해 국민연금의 의결권 확보가 중요했다.
실제로 국민연금은 조현상·조현준 형제의 이사 재선임 안건에 반대했지만 인적분할에는 찬성했다.
일각에서는 정치권과의 관계를 염두한 보험성 투자였다는 해석도 나온다.
HS
효성은 이번 사안에 관해 “정치적 고려나 김건희 씨 측과의 연결 가능성은 전혀 고려된 바 없다”고 주장했다.
조 부회장은 오는 21일 특검에 출석할 예정이다.
앞서 특검은 17일에 소환하려 했지만 조 부회장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기업자문위원회 회의에 참석 중이라 소환 일정이 미뤄졌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